십이율

십이율

[ 十二律 ]

요약 아악(雅樂)의 12음계.

1옥타브의 음역을 12개의 음정으로 구분하여 각 음 사이를 반음 정도의 음정차로 율을 정한 것으로,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사용되었다. 이 12음계는 저음으로부터 황종(黃鍾:C)·대려(大呂:C)·태주(太簇:D)·협종(夾鍾:D)·고선(姑洗:E)·중려(仲呂:F)·유빈(蕤賓:F)·임종(林鍾:G)·이칙(夷則:G)·남려(南呂:A)·무역(無射:A)·응종(應鍾:B)의 순으로 되어 있다.

각 율은 황종을 기본음으로 하여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으로써 음정을 구한다. 십이율은 음양(陰陽)의 원리에 따라 양을 상징하는 황종·태주·고선·유빈·이칙·무역 등 홀수의 여섯을 육률(六律)이라 하고 이를 양성(陽聲)·양률(陽律)·육시(六始)·육간(六間)이라고도 한다. 또 음을 상징하는 대려·협종·중려·임종·남려·응종 등 짝수의 여섯을 육려(六呂)라 하고, 음성(陰聲)·음려(陰呂)·육동이라고도 한다.

십이율 본문 이미지 1
황종황종대려대려십이율태주태주협종협종고선고선증려유빈임종이칙남려무역응종증려유빈임종이칙남려무역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