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려

남려

[ 南呂 ]

요약 한국과 중국의 음악에 쓰이는 12율 가운데 열번째로 높은 음.

황종(黃鐘)·대려(大呂)·태주(太蔟)·협종(夾鐘)·고선(姑洗)·중려(仲呂)·빈(蕤賓)·임종(林鐘)·이칙(夷則)·남려(南呂)·무역(無射)·응종(應鐘) 중 열번째 율명으로 음려(陰呂)에 속한다. 음의 높이(pitch)는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에 의하여 황종·임종·태주에 이어 얻어지고, 율관(律管)의 길이는 황종을 9치 9푼으로 할 때 5치 3푼의 길이가 된다.

황종을 '다(C)'와 같게 놓으면 '가(A)'에 해당하고, 황종을 '내림마(E)'에 놓으면 '다(C)'에 해당하는 음이다. 오행사상(五行思想)으로는 음력 8월과 12지(支)의 유(酉)에 대응한다.

남려 본문 이미지 1
황종황종대려대려십이율태주태주협종협종고선고선증려유빈임종이칙남려무역응종증려유빈임종이칙남려무역응종

참조항목

십이율

역참조항목

대려, 응종, 이칙, 태주, 황종, 협종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