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종

편종

[ 編鐘 ]

요약 국악기 중 금부(金部)에 속하는 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
편종

편종

이 악기는 본래 중국 고대의 대표적인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고려 예종 11) 송나라에서 들어왔으며 그 후 계속 수입해 써 오다 조선 세종 때부터 주종소(鑄鐘所)를 두고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다. 두 개의 방대(方臺) 위에 목사자(木獅子) 한 쌍을 앉히고 그 위에 종을 달 나무틀[架子]을 세워 양편에 용두(龍頭)를 조각하고 틀 꼭대기에는 다섯 마리의 목공작(木孔雀)을 세워 장식하였다.

이 틀에 16개의 종을 상 ·하 2단으로 8개씩 나누어 매달고 각퇴(角槌)로 종 아래 정면에 있는 수(鐩)를 쳐서 소리를 내는데 그 때리는 강도에 따라 음색이달라진다. 음역은 12율4청성(十二律四淸聲)에 이르며 음색은 웅장하고 날카로운 금속성을 낸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