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계문신

초계문신

[ 抄啓文臣 ]

요약 조선 후기에 규장각에 특별히 마련된 교육 및 연구과정을 밟던 문신들.
초계문신제명록

초계문신제명록

정조가 즉위 직후 규장각을 설립한 것은 역대 국왕 및 본인의 영정과 저술, 친필 등을 보관한다는 점을 표방하였지만, 정치적으로 세력 기반을 강화하고 문화적으로는 이념과 정책의 연구를 진흥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그 구체적인 장치로서, 재능 있고 젊은 인물들을 의정부에서 선발해 국왕에게 보고[抄啓]한 후 규장각에 소속시켜 학문을 연마하게 한 것이다.

이 제도는 조선 전기의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며, 운영 방식은 《문신강제절목(文臣講製節目)》에 규정되어 있다. 37세 이하의 당하관 중에서 선발하여 본래 직무를 면제하고 연구에 전념하게 하되, 1개월에 2회의 구술고사[講]와 1회의 필답고사[製]로 성과를 평가하였다. 정조가 친히 강론에 참여하거나 직접 시험을 보여 채점하기도 하였다. 교육과 연구의 내용은 물론 유학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문장 형식이나 공론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고 경전의 참뜻을 익히도록 하였으며, 40세가 되면 졸업시켜 익힌 바를 국정에 적용하게 하였다.

1781년(정조 5)부터 1800년까지 10차에 걸쳐 138인이 선발되었고 세도정치하에서 중단되었다가, 헌종이 정조를 모델로 국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던 중 1847년(헌종 13)과 이듬해 두 차례에 걸쳐 56인을 선발한 바 있으나 후대로 이어지지 못했다.

정조 때에는 정약용(丁若鏞)·홍석주(洪奭周)·김재찬(金載瓚) 등 당대 최고의 학자와 관료들을 배출하여 그들이 19세기의 정치와 문화를 주도하였다. 《초계문신제명록(抄啓文臣題名錄)》에 전체 명단이 정리되어 있다.

참조항목

사가독서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