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주

홍석주

[ 洪奭周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충청도관찰사, 전라도관찰사, 병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순조가 서거하자 실록총재관으로 《순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남응중의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 삭출(削黜)되었다가 복직,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에 이르렀다. 성리학에 정통한 10대 문장가로 꼽혔다.
출생-사망 1774 ~ 1842
본관 풍산(豊山)
성백(成伯)
연천(淵泉)
시호 문간(文簡)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연천집(淵泉集)》,《학해(學海)》

본관 풍산(豊山). 자 성백(成伯). 호 연천(淵泉). 시호 문간(文簡). 1795년(정조 19)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직장(直長)을 거쳐 주서(注書)로 검열을 겸하고, 1802년(순조 2) (正言)이 되었다. 이듬해 (應敎)로 사은사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청나라에 다녀온 뒤 교리 ·도승지 ·부제학을 역임, 1815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이어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1830년 병조판서에 승진, 다음해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다시 청나라에 다녀와서 1834년 이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순조가 서거하자 실록총재관(實錄摠裁官)으로 《(純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1836년(헌종 2) 남응중(南膺中)의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 대사헌 김로(金路)의 탄핵을 받아 삭출(削黜)되었다가 1839년 대왕대비 김씨(金氏:순원왕후)의 특지(特旨)로 복직,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에 이르렀다.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한 10대 문장가로 꼽혔으며, 문집에 《연천집(淵泉集)》 외에 《학해(學海)》 《영가삼이집(永嘉三怡集)》 《동사세가(東史世家)》 《학강산필(鶴岡散筆)》, 편서(編書)에 《속사략익전(續史略翼箋)》 《상예회수(象藝薈粹)》 《풍산세고(豊山世稿)》 《대기지의(戴記志疑)》가 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