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중시

전중시

[ 殿中寺 ]

요약 고려시대 왕실의 공상(供上) 및 보첩(譜牒)을 담당하던 관청.

문종(文宗) 때 관제를 개편하면서 전중성(殿中省)을 고친 이름으로, 왕실 내부의 일과 보첩을 맡아보았다. 전중성은 목종(穆宗) 때 설치되었는데, 당시의 직제로는 판사(判事:정3품) 1명, (監:종3품) 1명, 소감(少監:종4품) 1명, (丞:종5품) 2명, 내급사(內給事:종6품) 1명을 두었다.

이후 관제 개편과 함께 전중시로 바뀌면서 감은 윤(尹)으로, 소감은 소윤(少尹)으로 하였다. 이속(吏屬)으로는 주사(主事) 4명, 영사(令史) 4명, 서령사(書令史) 4명, 산사(算士) 1명을 두어 실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다.

그 뒤 1298년(충렬왕 24) 나라의 압력으로 관제개혁이 실시되면서 전중시는 다시 종정시(宗正寺)로 바뀌었다. 이 때 판사를 없애고 윤은 (卿)으로, 소윤은 소경(少卿)으로 하였으며 종7품의 주부(注簿)를 새로 두었다. 1310년(충선왕 2) 종부시(宗簿寺)로 고쳤으나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면서 왕실의 결속을 지켜왔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392년(태조 1) 다시 전중시라 하였으나, 1401년(태종 1) 종부시로 고쳐 조선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을 편찬하고 종실(宗室)의 잘못을 조사하고 규탄하는 관청으로 자리잡았다.

참조항목

관청, 전중성, 종부시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