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수연어

일수연어

[ 一水然語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황인기(黃仁紀:1747∼1831)의 시문집.
구분 필사본, 시문집
저자 황인기
시대 조선시대
소장 국립중앙도서관

필사본. 20권 10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서문과 발문이 없어 책이 이루어진 정확한 경위는 알 수 없다. 시는 자연의 풍광이나 〈규중사(閨中詞)〉와 같은 독특한 소재를 이용하여 생활 감정을 읊고 있다. 소차에는 영·정조 때의 정치적인 변화를 보여 주는 〈대관학유생청토인한후겸소(代館學儒生請討麟漢厚謙疏)〉 등과 필암서원의 유생을 대신하여 김인후(金麟厚)의 문묘종사를 청하는 소, 김집(金集)과 조헌(趙憲)의 문묘종사를 청한 소들이 있다.

특히 장문으로 된 〈응지진십폐소(應旨進十弊疏)〉는 군정·조운·조적·궁둔·서리·호적·노비·지물(紙物)·송금(松禁)·산송(山訟)의 폐단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이들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김재찬(金載纘)·송환기(宋煥箕) 등과 나눈 편지는 <송자문인록발(宋子門人錄跋)〉 등과 함께 당시 노론계 인물들의 동향을 보여 준다. 그 외에 담배의 명칭과 전래, 보급과정을 기록하고 있는 〈남초설(南草說)〉 〈칭호설(稱號說)〉 〈연연설(然然說)〉 〈경서정문발(經書正文跋)〉 등이 있어 다양한 면모를 보여 준다.

참조항목

문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