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현

이의현

[ 李宜顯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경종 때 신임사화에 연루, 유배되었다. 영조 때 우의정에 올랐으나 정미환국으로 쫓겨났다가 박필몽 등의 반란을 평정, 영의정이 되었다.《경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청백리로 알려졌고, 글씨도 뛰어났다.
이의현 묘

이의현 묘

출생-사망 1669 ~ 1745
본관 용인(龍仁)
덕재(德哉)
도곡(陶谷)
시호 문간(文簡)
주요저서 《도곡집(陶谷集)》

본관 용인(龍仁). 덕재(德哉). 도곡(陶谷). 시호 문간(文簡).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 ·정언(正言) ·교리(校理) ·부응교(副應敎) 등을 거쳐 1708년(숙종 34) 승지(承旨)가 되었다. 1716년 예조참판이 되고 1720년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듬해 형조 ·예조 판서를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운산(雲山)에 유배되었다.

1725년(영조 1) 풀려나와 1727년(영조 3) 우의정에 올랐으나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쫓겨났다가 다음 해 박필몽(朴弼夢) 등의 반란(叛亂)이 있자 중추부판사(中樞府判事)가 되어 난을 평정하고, 1735년 영의정이 되었다. 청백리로도 알려졌지만 글도 잘해 《경종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고, 글씨도 잘 써 여러 비문에 필적을 남겼다. 문집에 《도곡집(陶谷集)》이 있다.

참조항목

도곡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