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농

이농

[ 離農 ]

요약 농민이 다른 산업에 취업할 기회를 갖기 위하여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

근대 자본주의 발달에 의한 다른 산업의 노동력에 대한 고용증가를 배경으로 하며, 농민층의 분해, 농민이 임금노동자화되어 발생하는 인구동태의 현상이다. 이농의 형태로는 항구적 이농, 일시적 이농, 이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직업적 이농과 유학 등을 포함한 비직업적 이농, 단신 이농과 전가족 이농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근래에는 과소지역으로의 전가족 이농형이 증가하고 있다.

근대 자본주의의 발흥으로 도시의 상공업이 발달함에 따라 농업노동력의 흡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농은 세계 선진문명국에 공통되는 현상이다. 일시적 이농현상은 영세농에 있어서 농한기의 유휴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집을 떠나 농가의 겸업소득을 올리는 데 목적이 있다. 항구적 이농현상은 영구적으로 농업을 떠나 도시에서 생활하게 되는 것을 말하며, 적지 않은 수의 농민이 개척농촌을 이루어 새로운 농촌으로 이주하는 현상이다.

이민은 해외로 나가서 새로운 영농으로 이상농촌을 구현하려는 것을 말한다. 이농에 있어서 특히 한국과 같은 경우 농지가 선조 대대로 내려오고 조상을 모시는 분묘지가 상속되기 때문에 이농에는 많은 부작용이 뒤따르고 있다. 사회가 비교적 유동적이고 자유롭게 토지를 매매하여 새로운 곳으로 농지를 구하는 미국 등에서는 이농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농의 원인은 경제적 고도성장에 수반한 생활의 전체적 향상과 지출의 증가, 농업생산의 정체와 노동력의 부족, 농산물 가격의 불안정, 정부정책 등에 기인한 것으로, 이농의 증가는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