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세척

위세척

[ gastric lavage , 胃洗滌 ]

요약 입에서 식도를 통해 위에 관을 삽입해 위의 내용물을 입 밖으로 씻어내는 방법.

위세척술은 위의 내용물을 입 밖으로 씻어내기 위해 쓰는 방법이다. 우선 입과 식도를 통해 위까지 가는 관을 삽입하는데, 만일 환자의 의식이 저하되어 있거나 구역 반사가 사라져 있다면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관 안에 관을 삽입해야 한다. 환자를 왼쪽으로 눕힌 뒤에 길이 70~80cm, 안지름 약 8mm의 고무제 위관을 식도를 통해 위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 넣는다. 그 뒤 공기를 주입해 튜브가 위 안에 위치를 잘 잡았는지 확인한다. 관을 통해 따뜻한 물이나 생리식염수를 주입할 때는 관을 들어 액체가 환자의 위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성인인 경우에는 한 번에 200~250 mL, 5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50~100 mL가 적당하다. 관을 위의 높이 아래로 내리면 위의 내용물이 위에서 역류해 나오는데, 이 액을 수용기로 받아낸다. 위에서 나온 배출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액체를 넣고, 받아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위세척술을 할 때 액체가 폐로 흡인되거나 식도천공, 긴장성 기흉, 비출혈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또 위세척술에는 적응증이 있는데 안전하게 구토를 할 수 없는 환자, 고독성물질을 다량으로 삼킨 환자 등에서 실시한다. 하지만 부식성 약물을 삼켰을 때, 식도정맥류식도협착, 위절제술을 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심장판막증·동맥경화증·위궤양의 활동기와 발열·임신 등의 경우에는 위세척술을 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