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천읍

오천읍

[ Ocheon-eup , 烏川邑 ]

요약 경상북도 포항시 남서부에 있는 읍.
오어사

오어사

위치 경상북도 포항시 남서부
면적(㎢) 70.5
행정구분 33행정리(11법정리)
행정관청 소재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세계길 5(문덕리 27)
인구(명) 56,115(2018년)

동쪽은 장기면(長鬐面), 북쪽은 동해면(東海面)·제철동(製鐵洞), 서쪽은 대송면(大松面), 남쪽은 경주시 문무대왕면(文武大王面)과 경계를 이룬다.

원래 일월지(日月池)가 있었다 하여 일월면이라 하였으나, 1914년 고현면(古縣面) 지역을 병합하고 영일군의 옛 이름인 오천을 따서 오천면이라 하였으며, 1980년 12월 읍으로 승격하였다. 읍의 남부지역은 침식에 강한 석영반암으로 구성되어 해발고도 400∼600m의 산지를 이루고 북쪽은 제3기 연일층군(延日層群)의 낮은 구릉지를 형성한다.

남쪽 경계 부분과 남서쪽 오어지(吾魚池)에서 발원한 냉천(冷川)이 북쪽으로 흘러 영일만으로 유입하며, 그 양안에 충적평야하안단구를 형성하여 주요 농경지를 이룬다. 벼농사 이외에 채소·양송이 재배가 활발하다. 철강공단이 인접해 있고 근처에 해병부대가 있어 공단 근로자와 영외거주 군인이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원주민은 17%에 불과하다. 시내와 장기면을 잇는 지방도가 지난다. 운제산(雲梯山) 밑에는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창건한, 고승 원효대사와 혜공(惠空)대사가 수도했다는 오어사(吾魚寺)가 있다.

문화재로는 오어사 동종(銅鍾:보물 1280), 영일일월지(迎日日月池:경북기념물 120), 오어사 대웅전(大雄殿:경북문화재자료 88), 오천서원, 고현성터, 정몽주 유허(遺墟)비각, 오어사 원효암, 오어사 부도, 항사동 기석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