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선사

영선사

[ 領選使 ]

요약 조선 말기 개화기에 중국의 선진 문물(무기 제조법)을 견학하기 위해 젊은 유학생들을 거느리고 건너가 청나라의 무기제조법 등을 배워오고, 미국과의 수교문제(聯美論)에 관하여 사전 조율하기 위해 중국을 다녀온 사신(1881~1882).

조선은 강화도조약(1876)으로 개국한 이후 선진 문물을 흡수해야 한다는 시대적 필요성을 절감하고 개화정책을 실현시킬 시점에 있었다. 그리하여 일본과 중국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를 하였다.

조선 정부는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는 이용숙(李容肅)을 통해 청나라에서의 신식무기 학습과 구입 등을 사전에 타진한 결과, 북양대신 이홍장(李鴻章)의 긍정적 회답을 얻었다(1879). 이에 따라 사신 변원규(卞元圭)를 파견하여 정식으로 무기제조법 학습을 요청하였다(1880). 그 결과 무기제조 기술에 대한 학습과 군인들을 유학시키는 문제 등에 대한 응답을 받았다. 정부에서는 바로 이듬해에 파견할 사신단을 결성하기로 하고, 통리기무아문에서 사신 명칭을 ‘영선사’로 정하였다(1881. 2). 영선사에 김윤식(金允植)을 임명하고, 그에게 두 가지의 임무를 주었다. 첫째는 중국의 선진 군사기술을 배워오는 일이고, 둘째는 연미(聯美) 문제에 대하여 사전 협의하는 일이었다.

유학생은 우선 무기 제조술을 배울 대상으로 공도(工徒)라 하였으며, 학생수는 청나라와 합의된대로 38명을 선발하였다. 그 밖의 관원과 수종(隨從)을 합하여 총 69명이 구성되었다. 영선사 일행은 1881년 9월 26일에 출발하여 11월 17일에 북경에 도착하였다. 김윤식은 보정부(保定府)에 있는 이홍장과 세 차례 협의를 하고, 다음해 초 학생들을 학습할 각 기기국에 배정하여 화약 및 탄약의 제조법·전기·화학·제도(지도제작법)·제련·기초기계학 및 외국어를 학습하였다. 신분에 따라 학생들을 구분하였는데, 중인 신분 학생들을 ‘학도’라 하였고, 이들은 주로 이론학을 학습하였고, 천민 신분 학생들은 공장(工匠)이라 하였으며, 이들은 주로 기계 기술을 학습하였다. 그러나 이들 학생들중 일부 학생들은 성적이 부진하기도 하였고, 그 위에 체재비 조달에 어려움이 겹쳤으며, 마침 국내에서 임오군란(1882)이 일어나 일부는 조기 귀국하게 되었다. 그 후 김윤식에 의해 남은 학생을 인솔하고, 국내에서 기기창을 설립하기 위해 약간의 무기를 구입하여 완전 귀국하였다(1882. 11).

1880년 조선에 김홍집에 의해 《조선책략(朝鮮策略)》이란 외교도서가 전해지면서 연미론은 힘을 받게 되었으며, 1881년 영선사로 파견된 김윤식이 보정부에서 이홍장과 회담할 때, 주로 연미 문제에 관해서 협의하였다. 즉, 국내에서 서양 세력에 대하여 거부 반응이 강한데 대하여, 중국측으로부터 이에 대한 조언을 할 사신을 조선에 파견하는 문제와 미국과의 연결문제 등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환경이 조성되어 결국 미국과 제물포에서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이 체결되었다(1882. 4).

영선사행은 조선의 개국 이후 근대화과정에서 선진 문물도입과 국제 외교 문제를 풀기 위해 중국을 통해 이루어진 중대한 외교활동이었다.

영선사 본문 이미지 1
영선사조사 시찰단수신사

역참조항목

기기창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