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과

역과

[ 譯科 ]

요약 조선시대 통역관을 뽑기 위한 과거(科擧).

기술관을 위한 잡과(雜科)의 하나로, 한학(漢學)·몽학(蒙學)·왜학(倭學)·여진학(女眞學:뒤에 淸學이라 함)의 네 종류가 있었다.

소요(所要)되는 인원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정기시험인 식년시(式年試)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임시로 시행한 증광시(增廣試)의 두 가지만 있었고, 대·소과(大小科)의 구별이 없는 단일과이며 시험 단계도 초시(初試)·복시(覆試)의 2단계로 과시(科試)하였다. 사역원(司譯院) 생도로서 소정의 교육을 마친 자들이 응시하였는데, 초시는 사역원이 주관하고 복시는 예조와 사역원이 공동으로 주관하여 다음과 같이 선발하였다.

역과에 합격된 자는 종7품에서 종9품까지의 품계를 주어 각사(各司)의 권지(權知:試補)로 분속시켰다가 자리가 나면 실직(實職)을 주었고, 정3품 당하관(堂下官)이 승진의 한계였다. 간혹 당상관에 임명되기도 했으나 이는 왕의 특은(特恩)으로 인한 것으로 매우 특별한 경우였다.

조선의 과거제도

역과 본문 이미지 1
잡과무과음양과율과역과의과

참조항목

과거, 잡과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