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성시

알성시

[ 謁聖試 ]

요약 조선시대에 실시된 비정규 문과 ·무과 시험.
알성시

알성시

알성과(謁聖科)라고도 한다. 국왕이 문묘에 가서 제례를 올릴 때 성균관 유생에게 시험을 보여 성적이 우수한 몇 사람을 선발하는 것으로서, 1414년(태종 14)에 처음 실시하였다.

알성시는 문과 ·무과만 치렀다. 문과는 초시와 복시(覆試)는 없고 전시(殿試)만으로 급제자를 선발하였다. 알성시는 왕이 친히 참가한 친림과(親臨科)였다. 알성문과는 당일 합격자를 발표하였으므로 시관(試官)의 수도 많았다. 또 친림하므로 상피제(相避制)가 없어 시관의 아들이나 친척도 응시할 수 있었다.

국초(國初)에는 성균관 유생과 3품 이하의 조사(朝士)에게만 응시자격을 주어 성균관 유생들에게 학문 의욕을 고취하는 효과가 있었다. 뒤에 지방의 유생들에게도 응시자격을 주었다. 무과는 초시와 전시로 나누고 전시에 국왕이 친림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