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노미

아노미

[ anomie ]

요약 사회적 규범의 동요·이완·붕괴 등에 의하여 일어나는 혼돈상태 또는 구성원의 욕구나 행위의 무규제 상태.

어원은 무법·무질서의 상태, 신의(神意)나 법의 무시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노미아(anomia)로서, 중세 이후 사용되지 않다가, É. 뒤르켐이 《사회분업론》(1893)과 《자살론》(1897)을 통하여 근대사회학에 부활시켰다. 그는 이 말을 일정한 사회에 있어서, 구성원의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돈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뒤르켐에 의하면, 사회적 분업의 발달은 사회의 유기적 연대(有機的連帶)를 강화하지만, 이상(異常)상태에 있어서는 사회의 전체적 의존관계가 교란되어, 무규제·무통제의 분업이 사회적 아노미 상황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뒤르켐 이후에도 아노미의 개념은 현대사회학에서 사회해체(社會解體) 현상을 분석(分析)·기술(記述)하는 유효한 개념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