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여사

승여사

[ 乘輿司 ]

요약 조선시대 병조에 딸린 부속기관.

왕의 행차에 관한 의장(儀仗)과 교통관계의 역정(驛程)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던 부서이다. 건국 초에는 병조의 지위가 낮아 장관인 전서(典書)가 정3품이었으며, 속사도 설치되지 않았다. 1405년 1월에 병조가 격상되어 정2품 아문으로 될 때 속사제가 갖추어져 3개의 사를 두게 됨으로써 승여사가 만들어졌다. 승여사의 직무는 노부(鹵簿) ·여련(輿輦) ·구목(廏牧) ·정역(程驛) 및 보충대 ·조례(皁隸) ·나장(羅將) ·반당(伴倘)에 관한 사항이다. 왕의 행차와 관련된 의장관계의 업무와 교통 ·통신의 임무, 그리고 의장이나 위종(衛從)과 연관되는 특수한 병종 또는 종졸(從卒)에 대한 업무이다. 이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정랑좌랑이 각각 1명씩 배치되었다. 승여사의 소관사항들은 당상관을 거쳐 병조판서에 의해 최종적으로 재결되었을 것이다. 조선 후기에 와서는 속사제도에 변화가 생겨 승여사는 없어지고 그 대신 마색(馬色)이 설치되어 승여사의 일을 이어받았다.

참조항목

결속색, 병조

역참조항목

내승, 노부, 마색, 무비사, 역참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