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하르토

수하르토

[ Suharto ]

요약 인도네시아의 군인·정치가. 대통령 수카르노에게서 치안 대권을 위양받고 총리·국방치안장관·육군장관·육군총사령관을 겸임했으며 제2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6선 대통령이 되었지만 대규모 반정부시위로 몰락했다.
출생-사망 1921.6.8 ~ 2008.1.27
국적 인도네시아
활동분야 정치
출생지 인도네시아 자바섬 욕야카르타

중부 자바의 욕야카르타에서 태어났다. 하급 중학교 및 이슬람 학교를 마친 후에 인도네시아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43년 일본군 보호 아래 인도네시아 육군장교가 되어, 1945∼1950년 욕야카르타에서 대대장·연대장을 지내고, 1953년 중부 자바의 연대장, 1960년 준장으로 진급, 1960~1965년 육군참모차장을 지냈다. 1965년 9월 30일 쿠데타 때 당시 국방장관 나수리온과 협력하여 반란군을 격파하고 육군사령관이 되어 치안회복을 실현하였다.

1966년 3월 대통령 수카르노에게서 치안 대권을 위양받고, 7월에는 총리·국방치안장관·육군장관·육군총사령관을 겸임하였으며, 1967∼1968년 대통령권한대행을 거쳐, 1968년 3월 국민협의회에서 제2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1973년 3월 대통령에 재선되었으며, 1978년 3월에는 3선(選)저지운동을 탄압하고 3선(選) 대통령이 되었다. 1979년 11월 학생들의 반정부운동이 일어나고, 1980년 4월 전국에서 반(反)중국인 폭동이 발생한 데 이어, 5월 퇴역장성과 정치가 50명이 대통령비판성명을 발표하는 등 한때 정정(政情)이 불안했다. 하지만 1982년 5월의 총선에서도 수하르토를 정점으로 하는 골카르(Golkar) 조직이 압승함으로써 4선 대통령이 되었다. 그 뒤에도 두 번의 재선을 했지만 1998년 대규모 반정부시위로 몰락하고 말았다.

외교면에서 수하르토 정권은 수카르노 시대의 반제국주의 ·비동맹노선에서 180도 선회하여 미국 등 서방 여러 나라와 밀착된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이를 ‘신체제’라고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