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부

선부

[ 膳夫 ]

요약 조선시대 임금의 식사와 대궐 안의 식사를 맡아 보던 사옹원 소속의 종7품 잡직.
구분 잡직
설립일 조선시대
주요활동/업무 임금과 궁중의 식사 담당
규모 1인

조선시대 사옹원(司饔院)에 소속된 종7품 잡직으로, 천인 계급에 속한다. 조선 건국 직후부터 임금의 식사와 궁 안의 식사를 담당하던 사옹방(司饔房)이 1467년(세조 13) 사옹원으로 바뀌고, 고정적인 녹관(祿官) 제도가 성립되면서 13인의 잡직 가운데 1인으로 자리를 굳혔다.

사옹원의 소속 관원은 정(正) 1인, 첨정(僉正) 1인, 판관(判官) 1인, 주부(主簿) 1인, 직장(直長) 2인, 봉사(奉仕) 3인, 참봉(參奉) 3인으로 이루어진 실무직, 도제조(都提調) 1인, 제조 4인, 부제조(副提調) 5인(1인은 승지가 겸임)으로 이루어진 자문직, 그리고 재부(宰夫) 1인, 선부 1인, 조부(調夫) 2인, 임부 2인, 팽부(烹夫) 7인으로 이루어진 잡직 등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선부는 잡직 가운데 제2의 직계로, '선(膳)'은 '선(善)'과 의미가 통하는 글자요, 좋은 물건을 뜻하는 진선(珍膳)과도 같은 뜻을 가지고 있으며, 식사를 담당하는 우두머리를 의미한다. 문소전(文昭殿) 수라간과 대전 다인방(多人房)의 반감(飯監)이 임명되었고, 대궐의 음식물을 맡기기 위해 임시로 임명하던 차비관(差備官)의 일종이자 정원 외의 관원인 체아직(遞兒職)이다.

조선 초기《경국대전》에 보이는 선부의 직책이 《대전통편》에도 그대로 남아 있어 조선 후기까지 직제의 변함이 없었음을 알 수 있으며, 조선 말기 사옹원이 폐지될 때까지 존속되었고, 정원 또한 1인을 유지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