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혁명

3월혁명

[ March Revolution , 三月革命 ]

요약 1917년 3월 8일(구력 2. 23) 시작되어 왕정(王政)을 붕괴시킨 러시아혁명.
원어명 Märzrevolution

1905년의 혁명 성과인 의회 두마(Duma)가 자주 해산되자 온건파들도 불만을 품게 되었으며, 소수민족들도 반항적으로 변해갔다. 그러나 제국정권에 결정적인 타격을 준 것은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에 참여한 러시아의 전쟁능력 부족이었다. 러시아는 더 이상 중부 유럽과 서유럽 국가들의 군사적 상대가 아니었으며, 러시아의 국민경제를 파탄 직전까지 몰고 간 전쟁은 혁명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1915년에는 입헌민주당을 중심으로 진보세력이 결성되었고, 1916년에는 치안당국마저 혁명의 절박함을 인정하게 되었다.

1917년에 접어들어 1,330건의 파업이 발생했으며, 2월 중순부터 수도 페트로그라드에서는 식량배급제를 실시했다. 3월 8일 식량배급이 중단되자, 비보르크구(區)의 여성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가 시위행진을 한 것을 시작으로 시민들은 봉기를 일으켰다. 카발로프 장군은 니콜라이 2세의 진압 명령을 거부했으며, 12일에는 시위대에 가담한 반란병과 노동자가 감옥에서 정치범을 석방하고 관청을 점거했다. 니콜라이 2세는 3월 15일 퇴위선언을 하였으며, 로마노프 왕조는 니콜라이 동생인 미하일 대공이 제위계승을 거절함으로써 종식되었다.

두마 위원회가 제정의 뒤를 이을 임시정부를 결성했지만, 석방된 정치범들 중 일부는 페트로그라드노동자·병사대표소비에트를 구성했다. 소비에트는 임시정부의 명령이 아닌 소비에트의 명령에만 복종할 것을 군대에 지시하는 '명령 제1호'를 3월 14일 공표했다. 다른 도시 및 촌락·군대에서도 소비에트가 형성되었으며, 6월 16일에는 제1차 전(全) 러시아소비에트대회가 열렸다.

혁명의 특징은 농민을 대표하는 군부가 노동자의 혁명에 참여하여 대중봉기를 이끌어 갔다는데 있으며, 러시아력으로 2월에 일어났기 때문에 2월혁명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