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

사신

[ 四神 ]

요약 동서남북의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지키는 네 가지 상징으로서의 짐승.

4령(四靈) ·4수(四獸)라고도 한다. 동의 청룡(靑龍), 서의 백호(白虎), 남의 주작(朱雀), 북의 현무(玄武)인데, 주작은 봉황, 현무는 거북과 뱀이 합쳐진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도상(圖像)과 관념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대두되기 시작하여 진한(秦漢) 시대를 거치면서 틀을 갖추었다. 그리고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치면서 유행하여 벽사(辟邪)와 수호를 목적으로 무덤과 석관 등의 장식으로 폭넓게 나타났다. 《주례(周禮)》의 춘관(春官) ·사상(司常)에 기(旗)의 무늬를 신분별로 규정하여 제후(諸侯)는 교룡(蛟龍), 사도(師都)는 웅호(熊虎), 주리(州里)는 조준(鳥隼), 현비(縣鄙)는 귀사(龜蛇)라고 되어 있고, 이러한 조수에 승조(升朝:朝見) ·하복(下復:歸國) ·수맹(守猛) ·용첩(勇捷) ·한난벽해(扞難辟害)라는 상징적 ·주술적 의미를 부여하였다는 것이 후한(後漢) 정현(鄭玄)의 주석에 나타나 있다.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에는 오성(五星)을 설명하여 동방은 목(木)이며, 그 짐승은 창룡(蒼龍), 남방은 화(火)이며, 그 짐승은 주조(朱鳥), 중앙은 토(土)이며, 그 짐승은 황룡(黃龍), 서방은 금(金)이며, 그 짐승은 백호(白虎), 북방은 수(水)이며, 그 짐승은 현무(玄武)라고 하여, 오행 사상에 입각한 천문 ·방위관과 색채판(色彩觀)이 사신 사상의 성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추정된다. 사신도(四神圖)는 전한(前漢) 말부터 후한시대에 걸쳐 급속히 성행하여 분묘벽화(墳墓壁畵) ·화상석(畵像石) ·전(塼) 등의 주제, 와당(瓦當) ·돌널[石棺] ·묘지(墓誌) ·동경(銅鏡) 기타의 장식 모티프로서 오랫동안 그 의미와 역할을 지속하였다.

전한의 예로는 뤄양벽화묘격장[洛陽壁畵墓隔墻] 상부의 투조채화전(透彫彩畵塼:현무는 빠졌음), 장안성지(長安城址) ·취푸현 영광전지[曲阜縣靈光殿址]의 와당, 금채동반(金彩銅盤) 등이 있고, 후한의 예로는 평륙벽화묘(平陸壁畵墓:1세기, 주작은 빠졌음), 쓰촨성 거현[四川省渠縣] 심부군석궐(沈府君石闕:2세기 후반), 쓰촨성 노산현[四川省蘆山縣] 왕휘석관(王暉石棺:212), 기남화상석묘(沂南畵像石墓)가 대표적이다. 평륙벽화묘의 현무는 거북뿐으로 신(新) 시대의 것이라고 한다. 방격규구사신경(方格規矩四神鏡)에는 거북과 뱀을 나란히 놓은 현무의 예가 있어 귀사합체(龜蛇合體)의 정형화까지는 다소의 곡절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하게 한다. 수 ·당(隨唐)시대에 사신도는 생기와 동세(動勢)를 띠어 새로운 전개를 보이고, 북송시대로 내려와서는 안수충묘지(安守忠墓誌:1000)나, 경릉(慶陵) 출토의 요(遼)나라의 성종애책전개(聖宗哀冊篆蓋:1031)의 사신도가 알려져 있다. 한국에는 고구려 고분벽화(古墳壁畵)에 뛰어난 작품이 많다.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