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교린

사대교린

[ 事大交隣 ]

요약 조선시대의 외교정책.

사대는 중국, 교린은 왜국(倭國) 및 여진(女眞)에 대한 외교정책으로, 세력이 강하고 큰 나라를 받들어 섬기고(事大), 이웃 나라와 대등한 입장에서 사귀어(交隣) 국가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조선 개국 이래의 외교방침이다. 특히 중국에 대한 사대는 조선의 기본법전인 《경국대전》에 올려 이를 뒷받침하였다.

즉 조선은 개국 초부터 해마다 하정사(賀正使:정월 초하루)·성절사(聖節使:황제의 탄신일)·동지사(冬至使:동짓날 보내는 사신) 등을 정기적으로 명(明)나라에 보내어 사대의 예를 하였고, 이 밖에 사은사(謝恩使:고마운 처사가 있을 때)·주청사(奏請使:임시로 보고할 일이 있을 때)·진하사(進賀使:명나라 황실에 경사가 있을 때)·진위사(陳慰使) 또는 진향사(進香使:명황실에 불행이 있을 때) 등 수시로 외교관계를 유지하였다. 이 사행(使行)에는 중국 황실에 보내는 방물(方物:貢物)이 뒤따랐는데, 특히 명나라는 이 조공(朝貢)과 이의 답례로 주는 회사(回賜)의 형식 이외에는 모든 외국무역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은 명나라의 문물을 얻기 위해서라도 사대(事大)의 예로써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쳐야 하였다.

한편 조선의 대(對)일본 교린은 왜구방지를 위한 평화적 회유책이었다. 조선은 개국 초부터 대일교섭을 통하여 고려 말기 이후 조선의 연안뿐만 아니라, 내륙까지 출몰하여 노략질해 온 왜구의 금압(禁壓)을 요구하였고, 일본도 조선 정부의 요구에 응하는 한편 조선과의 통교를 요구하여 사신을 파견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일본의 역대 막부(幕府)의 장군은 일본국왕의 이름으로 사신을 파견하였고, 조선에서는 통신사(通信使)·회례사(回禮使)를 보냈다. 또한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의 도주(島主) 소씨[宗氏]에게도 왜구 금압의 책임을 지우는 한편 조선에 대한 무역통제의 특권을 주었다. 여진에 대한 교린도 여진족이 국경지대에서 벌여온 노략질을 못하도록 달래는 회유정책이었다.

여진의 추장 또는 세력자들은 조선의 명예관직을 얻고, 일정한 규정에 따라 1년 또는 수년 만에 한 번씩 서울에 와서 조선국왕에게 숙배(肅拜)하여 형식상으로는 종속관계를 지속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여진이 노린 것은 그들이 가지고 온 물건의 진상(進上)과 그에 대한 회사(回賜)로 이루어지는 관무역(官貿易:賜與貿易)에 있었으며, 조선도 이들의 교역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대가로 국경지대의 국방상 안전을 꾀하려 하였다. 이와 같이 사대는 큰 나라를 섬김으로써 국가의 존립을 보장받고, 교린은 이웃과 평화를 유지하면서 국방상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데 그 특징이 있으며, 그 실질적인 내용은 진상(進上)과 회사 형식의 물물거래에 있었다.

참조항목

교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