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공

조공

[ 朝貢 ]

요약 조공제도로 성립·유지되는 중외관계 전반을 이르는 말.

조공은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에서 중국 변에 있는 나라들이 정기적으로 중국에 사절을 보내 예물을 바친 행위이다. 이는 일종의 정치적인 지배수단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주(周)나라 때 제후는 방물(方物:지역 특산물)을 휴대하고 정기적으로 천자(天子)를 배알하여 군신지의(君臣之義)와 신례행위(臣禮行爲)를 행하였다. 천자는 이를 통하여 여러 제후를 통제하고 지배하였다. 그뒤 이 제도는 한족(漢族) 중심의 중화사상을 기초로 주변 이민족을 위무·포섭하는 외교정책이 되었다.

주나라 이후 제후국들 사이에 작은 나라는 큰 나라를 섬기고(事大), 큰 나라는 작은 나라를 사랑해 주는(字小) 예가 있었다. 이러한 사대·자소는 결국 대소국간에 우의와 친선을 통한 상호공존의 교린의 예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들자 큰 나라는 약소국에 대하여 무력적 시위로 일방적인 사대의 예를 강요하였고, 이러한 사대의 예에는 많은 헌상물을 수반하는 조빙사대(朝聘事大)가 나타났다. 계속된 전쟁으로 힘의 강약에 의한 지배, 종속관계 대신 헌상물을 전제로 한 조빙사대가 되었으며, 이러한 행위는 한(漢)나라 이후 중국과 주변국가 사이에 제도화되어 조공과 책봉이라는 독특한 동아시아의 외교 형태로 나타났다.

조공 본문 이미지 1
조공조공중원왕조책봉책봉

따라서 조공·책봉관계는 약소국인 주변국에게는 자국의 안전을 위해 공식적인 교류를 통하여 중국의 침략을 둔화시키고 상호불가침의 공존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었다. 한편 중국으로부터 받은 책봉은 동아시아 외교체제에 편입되고 국제적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서, 중국 주변의 모든 나라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규범으로 정착되었다. 19세기 이전 만주·몽골·티베트·안남 및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는 모두 중국에 조공하였고, 19세기에 이르러 영국·프랑스 등 유럽의 나라가 중국에 통상을 요구할 때도 이 형식을 따랐다.

한국의 대중국 관계도 국제관계의 보편적인 외교규범을 지키면서 동아시아 외교체제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외교행위를 통하여 국가의 생존권을 보존하고 공식적인 무역 및 기타 문화교류를 하였다. 그러나 중국과의 관계가 모두 조공의 성격은 아니었다. 양국 관계는 청병(請兵)·출병, 연호·역(曆)의 채용, 내정간섭·인질, 공물과 회사(回賜)의 경제적 관계, 봉전을 비롯한 의례적·형식적인 관계 등의 전형적인 조공관계와 월경(越境)·범경(犯境)·교역·문화교류 등 비조공적인 관계로 구분하여야 한다. 조공사행에는 동지(冬至)·정조(正朝)·성절(聖節)·천추(千秋)의 정기적인 사행과 사은(謝恩)·주청(奏請)·진하(進賀)·진위(陳慰)·진향(進香)과 압마(押馬)·주문(奏聞) 등의 임시사행이 있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