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 Billemotdonggul Lava Tube in Eoeum-ri, Jeju , 濟州 於音里 빌레못洞窟 ]

요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용암동굴. 1984년 8월 14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입구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입구

지정종목 천연기념물
지정일 1984년 8월 14일
소장 건설부 외
관리단체 제주특별자치도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 707번지 외 107필지
시대 신생대
종류/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천연동굴

1984년 8월 14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굴의 길이는 2.9 km, 총길이는 11 km이다.

동굴 입구는 해발고도 230 m의 대지에 있는 함몰구(陷沒口)로 약 20 m를 내려가면 대체로 서쪽 방향 또는 북서 방향으로 뻗은 터널이 전개된다. 용암동굴로서는 매우 거창하고 복잡한 구조를 지닌 동굴로 웅장한 직류형인 주굴과 2층 ·3층으로 교차되는 미로형의 가지굴이 복합 발달하였다. 속칭 ‘소라굴’이라고도 불리는 이 동굴은 나선상으로 발달한 공동(空洞)의 형태가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동굴 내부의 특수지형으로는 용암 표면에 생긴 용암수형(熔岩樹型:lava tree-mold) 등이다. 풍부한 규산화(硅酸華)의 발달, 길이 28 cm 되는 규산주(柱), 높이 77 cm에 이르는 용암 석순, 분출종유, 기타 고사리형 ·유방형 등의 용암종유 등 특이한 것들이 많다.

이 동굴은 그 구조나 형태면에서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선사시대의 동굴주거 유적으로서의 석기, 목탄류와 순록 ·황곰[黃熊] 등의 동물 화석이 발견되어 한국 본토와의 육속(陸續), 제4빙기(4만~3만 5000년 전)가 한국을 거쳐 갔다는 것을 확인하게 하는 등 고고학상의 가치도 매우 커서 보존 연구를 위해 비공개 영구보존 동굴로 지정되었으며, 1984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용암동굴 천연기념물   동굴 입구는 해발고도 230 m의 대지에 있는 함몰구(陷沒口)로 약 20m를 내려가면 대체로 서쪽 방향 또는 북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곳은 선사시대 주거지로도 이용되었던 곳이다. 용암동굴로서는 매우 거창하고 복잡한 구조를 지닌 동굴로 웅장한 직류형인 주굴과 2층 ·3층으로 교차되는 미로형의 가지굴이 복합 발달하였다. 속칭 ‘소라굴’이라고도 불리는 이 동굴은 나선상으로 발달한 동굴 내부의 형태가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용암석순, 종유석의 형태가 특이한 것들이 많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