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

부평구

[ Bupyeong-gu , 富平區 ]

요약 인천광역시의 중동부에 있는 구.
철마산

철마산

위치 인천광역시 중동부
면적(㎢) 32.0
행정구분 22행정동(9법정동)
행정관청 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168(부평동 879)
국화
나무 은행나무
비둘기
홈페이지 http://www.icbp.go.kr/
인구(명) 538,137(2018년)

인천광역시의 중동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6° 41' 05"~126° 46' 13", 위도상으로는 북위 37° 27' 17"~37° 31' 45"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경기도 부천시, 서쪽으로는 인천시 서구, 남쪽으로는 남동구, 북쪽으로는 계양구와 접한다. 구의 동쪽과 남쪽 끝은 구산동, 서쪽 끝은 청천동, 북쪽 끝은 삼산동이며, 동서 간 거리는 7.47㎞, 남북 간 거리는 6.6㎞이다. 면적은 32.0㎢로 인천광역시 전체 면적의 약 3%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동구·미추홀구 다음으로 작다. 행정구역은 22행정동(9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신동이 전체 면적의 13.4%를 차지하여 가장 크고 갈산2동이 전체 면적의 2.1%로 가장 작다. 인구는 2018년을 기준하여 53만 8137명으로 인천시 전체 인구의 17.8%를 차지하여 서구·남동구 다음으로 많다.

구를 상징하는 꽃은 국화, 나무는 은행나무, 새는 비둘기, 동물은 백마이다. 구를 대표하는 캐릭터는 부평을 대표하는 풍물축제의 전통 복장에 무선 헤드셋을 착용한 한 쌍의 소년·소녀를 친근한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축제의 도시,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표현한 '부디(Buddy)'와 '부니(Bunny)'이다. 구청 소재지는 부평동이다.

부평구 본문 이미지 1
강화만김포시고양시파주시한강부천시시흥시안산시화성시시화호강화군서구동구미추홀구중구옹진군계양구부평구남동구연수구옹진군황해

자연

서쪽에 원적산(211m)·철마산(146m)·함봉산(호봉산, 165m) 등이 서구와 경계를 이루는데, 이들 산지는 예로부터 인천의 해안 지역과 내륙 지역을 가르는 경계이기도 하다. 남쪽에는 부개산(만월산, 187m)·광학산(철마산, 201m) 등이 남동구와 경계를 이루고, 북쪽으로는 경인고속도로가 계양구와 경계를 이룬다. 북쪽의 계양구 계양산과 남쪽의 부개산·광학산·거마산 사이의 분지에 위치하여 대체로 저평한 구릉지대에 해당하는데, 분지에 발달하여 곡창지대를 이루던 부평평야는 지금은 시가지와 주택지로 변모하였다. 주요 하천으로는 광학산에서 발원하는 굴포천이 북쪽으로 흐르면서 청천천·계산천·귤현천을 비롯한 부평구와 계양구의 지류들과 합쳐져 경인 아라뱃길로 흘러들어 한강으로 합류한다.

연평균기온(2001~2010년)은 12.6℃로 인천시 평균(12.0℃)보다 0.6℃ 높다. 연평균 일최고기온은 17.3℃, 연평균 일최저기온은 8.6℃로 연평균 일교차가 8.7℃로 나타난다. 식물의 성장가능 기간은 261.2일로 인천시 평균(256.8일)보다 4.4일 길다. 연평균 강수량은 1285.9㎜로 인천시 평균(1194.4㎜)보다 90㎜ 이상 많으며, 연평균 강수량의 60% 이상이 여름철에 내리는 하계다우형이다. 연평균 강수량이 가장 많은 부개1동(1321.9㎜)과 가장 적은 십정1동(1250.5㎜)은 70㎜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연혁

삼국시대 초기에는 백제에 속하였으며, 475년(장수왕 63) 고구려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여 지금의 부평 지역에 주부토군(主夫吐郡)을 설치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인 757년(경덕왕 16) 주부토군이 장제군(長堤郡)으로 개편되었고, 고려시대에 장제군은 수주(樹州)로 승격되어 수안현(守安縣)·김포현(金浦縣)·동성현(童城縣)·통진현(通津縣) 등을 속현(屬縣)으로 두었는데, 수안현이 지금의 부평구·계양구 및 부천시에 해당한다. 수주는 이후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부평부(富平府)로 격하되면서 '부평'이라는 지명이 처음 사용되었다.

조선이 개국한 뒤, 1413년(태종 13) 8도제가 시행되면서 부평부는 경기도에 속한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로 승격되었다. 부평도호부는 세종 초에 강화도호부·인천군 외에 해풍군(지금의 북한 개성 일부)·김포현·교동현(지금의 강화군 교동면·서도면)·양천현(지금의 서울시 강서구·양천구)·통진현(지금의 김포시 통진읍·월곶면) 등 1도호부 2군 4현을 관할하였다. 1895년(고종 32) 23부제 시행에 따라 부평도호부는 부평군으로 개편되어 인천부(仁川府)에 편제되었으며, 이듬해에 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시행되면서 경기도 부평군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인천항 주변의 시가지를 제외한 인천부의 나머지 지역과 부평군이 병합되어 부천군이 신설되었다. 부천군은 부내면·계양면·서곶면을 비롯한 15개 면으로 편제되었는데, 부내면에 속한 16개 리 가운데 8개 리(갈월리·구산리·대정리·마분리·산곡리·청천리·항동리·후정리)가 지금의 부평구에 해당한다. 1940년 부내면·서곶면이 인천부에 편입되어 부평출장소와 서곶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부평평야 일대에 일본군의 군수물자를 조달하기 위한 조병창(造兵廠)이 건설되었으며, 8·15광복 후에는 미군 기지로 사용되었다.

1949년 인천부가 인천시로 개편되었고, 1968년 구제(區制) 실시에 따라 부평출장소와 서곶출장소를 통합한 북구(北區)가 설치되어 19개 행정동(29법정동)으로 편제되었다. 1981년 인천시가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87년까지 북구는 29개 행정동으로 확대되었다. 1988년 검암동을 비롯한 10개 동이 분리되어 서구가 신설되었고, 이듬해에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계양동으로 편입되어 20개 행정동으로 재편되었다. 북구는 1994년까지 32개 행정동으로 확대되었으며, 1995년 인천광역시 출범 후 계양동을 비롯한 11개 행정동이 계양구로 분리되고 북구의 나머지 지역은 옛 지명을 따라 지금의 부평구로 명명되었다.

이후 2005년에 삼산동이 삼산1~2동으로 분동되어 지금의 22개 행정동 체제가 갖추어졌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22행정동(갈산1~2동·부개1~3동·부평1~6동·산곡1~4동·삼산1~2동·십정1~2동·일신동·청천1~2동) 9법정동(갈산동·구산동·부개동·부평동·산곡동·삼산동·십정동·일신동·청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

산업구조의 비중은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하는 3차산업이 가장 크고, 제조업의 비중도 크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2018년을 기준하여 10조 4954억 원으로 인천시 전체 GRDP의 11.8%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5번째로 비중이 크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의 비중은 제조업(2조 9550억 원)이 31.1%로 가장 크고, 이밖에 부동산업(13.2%), 금융·보험업(9.4%),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7.6%), 도소매업(7.0%), 교육서비스업(6.9%) 등의 순이다. 금융·보험업과 정보통신업의 부가가치는 10개 군·구 가운데 가장 크고, 제조업·부동산업·교육서비스업의 비중은 3번째로 크다. 전통시장은 부평동에 진흥종합시장·부평깡시장·부평종합시장, 일신동에 일신시장(구 부일시장), 십정동에 열우물전통시장(구 십정종합시장), 삼산동에 삼산시장, 갈산동에 갈산시장, 산곡동에 산곡시장·도깨비시장 등이 상설시장으로 운영된다.

2018년 사업체 수는 3만 2636개로 인천시 전체 사업체의 16.1%를 차지하여 남동구·서구 다음으로 많다. 사업체별로는 도소매업체(7875개)가 24.1%로 가장 많고, 이밖에 숙박·음식점업체(16.9%), 운수·창고업체(13.0%),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체(11.3%), 제조업체(10.2%) 등의 순이다. 사업체 종사자는 15만 7261명으로 시 전체 종사자의 14.7%를 차지하여 남동구·서구 다음으로 많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체 종사자가 가장 많은 22%를 차지한다. 제조업은 금속가공제품을 비롯하여 기타 기계·장비, 전기 장비, 식료품,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등의 비중이 크다. 산업단지로는 부평구의 청천동과 서구·미추홀구에 걸쳐 부평주안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요 기업으로는 한국지엠(주)·동서식품(주)·자일자동차(주) 등이 있다.

교통

도로 교통은 한국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고속국도 120호선)가 서구 가정동을 기점으로 하여 부평구의 청천동·갈산동·삼산동을 거쳐 서울시 양천구까지 이어지고, 성남시의 판교 분기점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여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고속국도 100호선, 구 서울외곽순환도로)가 부평구의 삼산동·일신동·구산동을 경유한다. 서운 분기점에서 경인고속도로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접속한다. 이밖에 국도 46호선이 중구 북성동을 기점으로 하여 부평구의 십정동~구산동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진다.

철도 교통은 1899년 인천역~노량진역 간을 운행하는 경인선이 개통하여 부평 지역의 부평역을 경유하였다. 경인선은 2000년 수도권전철 1호선에 편입하여 부평구의 부개역~부평역~백운역~동암역을 거쳐 간다. 1999년에는 인천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하여 부평구의 갈산역~부평구청역~부평시장역~부평역~동수역~부평삼거리역을 운행한다. 이밖에 의정부시 장암역에서 인천시 석남역까지 운행하는 서울지하철 7호선이 부평구의 삼산체육관역~굴포천역~부평구청역~산곡역을 거쳐 간다. 인천도시철도 1호선이 부평구청역에서 서울지하철 7호선과, 부평역에서 수도권전철 1호선과 각각 접속한다.

관광

부평역 주변에 조성된 부평문화의거리는 차 없는 거리에 상점·음식점·영화관 등이 모여 있고 길거리 공연과 문화 행사, 주말 프리마켓, 인접한 해물탕거리와 전통시장 등 볼거리·먹거리·즐길거리가 풍성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즐겨 찾는 부평의 대표적 명소로 꼽힌다. 생태관광 명소로는 청천동에 나비를 테마로 하여 나비생태관·자연교육센터·흙의정원·들꽃동산·수생식물원 등의 도심 생태학습장으로 조성된 인천나비공원, 갈산동에 다양한 전시·체험 등을 통하여 지구온난화 현상과 각종 환경문제를 재미 있게 학습할 수 있는 부평굴포누리 기후변화체험관이 조성되어 있다. 산곡동과 청천동에 걸쳐 있는 원적산공원은 생태습지와 놀이터, 체육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봄에는 벚꽃, 가을에는 단풍과 은행나무가 수려한 경관을 이루어 도심의 휴식처로 인기가 높다. 이밖에 갈산동에 굴포먹거리타운이 조성되어 있으며, 걷기길로는 원적산 둘레길과 함봉산 둘레길이 있다.

사회문화

교육기관
전통 교육기관은 1127년(고려 인종 5) 지금의 계양구 계산동에 창건된 부평향교(인천유형문화유산)가 부평 지역의 공공 교육기관 역할을 하였다. 이밖에 1708년(숙종 34) 지금의 미추홀구 학익동에 건립되었던 학산서원(鶴山書院)과 각 고을의 서당들이 사학(私學)의 역할을 하였다.

근대 교육기관은 1899년 부평공립소학교(지금의 인천부평초등학교)가 부평 지역의 첫 초등 교육기관으로 개교하였으나 지금은 계양구에 속한다. 이후 1940년 인천소화동공립심상소학교가 개교하여 소화동공립국민학교·인천부평동국민학교를 거쳐 지금의 인천부평동초등학교로 이어지고, 1946년 인천부평서국민학교(지금의 인천부평서초등학교), 1949년 인천부평서국민학교 산곡분교장(지금의 인천산곡초등학교), 1952년 인천부평동국민학교 부개분실(지금의 인천부개초등학교), 1964년 인천부흥국민학교(지금의 인천부흥초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중등 교육기관으로는 1954년에 설립된 사립 소사고등공민학교가 도립 소사고등공민학교와 부천기술학교를 거쳐 지금의 부평중학교로 이어지고, 이밖에 1969년 부평동중학교, 1970년 부평여자중학교, 1971년 명신여자상업고등학교(지금의 명신여자고등학교), 1972년 부평고등학교, 1975년 북인천재건학교(지금의 인천생활예술고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2019년을 기준하여 교육기관은 전문대학 1개교(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고등학교 19개교, 중학교 21개교, 초등학교 42개교 등이 있다. 학생 수는 5만 4600여 명으로 인천시 전체 학생의 약 13%를 차지하여 남동구·미추홀구·서구 다음으로 많다.

공공시설
공공 도서관은 부개동의 부평기적의도서관을 비롯한 구립 도서관 6개소, 인천광역시교육청 산하의 부평도서관·북구도서관 등이 있다. 2019년을 기준하여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3개소를 비롯하여 병원 18개소, 한방병원 6개소, 보건소 1개소 등이 있다. 언론 매체로는 일간 신문사 2개소, 주간 신문사 17개소 등이 있다.

공공 체육시설은 삼산동에 수영장·헬스장·실내체육관·보조경기장 등의 실내 체육시설과 축구장·농구장·족구장 등의 야외 체육시설을 갖춘 삼산월드체육관, 갈산동에 수영장·헬스장 등을 갖춘 부평국민체육센터와 부평구다목적실내체육관, 일신동에 일신배드민턴장, 부평동에 부평체육공원·희망체육공원, 십정동에 십정체육공원, 산곡동에 원적산체육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문화·전시·공연 시설은 삼산동에 부평의 역사·문화를 알리는 유물·자료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부평역사박물관, 북카페·공연장 등을 갖춘 부평구청소년수련관, 향토문화를 보존·계승하고 다양한 지역 문화행사를 주관하는 부평문화원 등이 있다. 이밖에 십정동에 대·소 공연장·전시장과 야외 옥상공연장 등을 갖춘 부평아트센터, 갈산동에 시립 여성문화회관 등이 조성되어 있다. 예술단으로는 구립 여성합창단·소년소녀합창단·풍물단 등이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
예로부터 부평평야를 기반으로 농업이 활발하여 풍물이 발달한 지역으로서 1997년부터 매년 가을에 부평풍물대축제가 열려 구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고유제를 시작으로 사흘에 걸쳐 창작풍물페스티벌과 부평두레놀이 등의 공연, 시민축제와 풍물난장·대동놀이 등의 거리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인천을 대표하는 축제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민속놀이로는 과거에 농사일을 하면서 신명을 돋우던 두레농악이 삼산동 일원에서 전승하여 부평두레놀이라는 명칭으로 인천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유산
국가 지정 유산으로는 보물 1점(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이 있다. 시 지정 유산으로는 인천무형유산 2점(자수장·부평두레놀이)이 있다. 

행정구역

부개동, 산곡동, 삼산동, 십정동, 일신동, 청천동

관광

뫼골공원, 백운공원, 부평근린공원

문화시설

부평구청향토사료전시관, 부평도서관

관공서

부평구청, 인천세관 부평출장소

학교

갈산중학교, 갈산초등학교, 갈월초등학교, 개흥초등학교, 경찰인재개발원, 구산중학교, 구산초등학교, 대정초등학교, 동암중학교, 마곡초등학교, 명신여자고등학교, 미산초등학교, 부개서초등학교, 부개여자고등학교, 부곡초등학교, 부광고등학교, 부광여자고등학교, 부광중학교, 부광초등학교, 부내초등학교, 부마초등학교, 부원여자중학교, 부원중학교, 부원초등학교, 부일여자중학교, 부일중학교, 부평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부평동중학교, 부평동초등학교, 부평북초등학교, 부평서여자중학교, 부평서중학교, 부평서초등학교, 부평여자고등학교, 부평여자중학교, 부평중학교, 부흥중학교, 부흥초등학교, 산곡남중학교, 산곡남초등학교, 산곡북초등학교, 산곡여자중학교, 산곡중학교, 산곡초등학교, 상정초등학교, 세일고등학교, 인천동암초등학교, 인천마장초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백운초등학교, 인천부개초등학교, 인천부평남초등학교, 인천신촌초등학교, 인천외국어고등학교, 인천용마초등학교,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인천한길초등학교, 제일고등학교, 진산초등학교, 청천중학교, 청천초등학교, 한일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