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도끼

부채도끼

[ 扇形銅斧(선형동부) ]

요약 청동기시대에 사용된, 날이 부채꼴로 퍼진 청동도끼.
조양동에서 출토된 부채모양 도끼

조양동에서 출토된 부채모양 도끼

청동도끼는 날과 머리부분이 부채꼴로 퍼진 부채도끼와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띤 장방형 청동도끼가 있으나 부채도끼가 전형적이며 비파형 동검과 함께 출토되고 있다. 이 도끼는 가운데 허리가 가늘고 그 아래 날부분이 부채꼴로 크게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몸통 상부에는 톱날무늬 등이 새겨져 있고 자루를 끼울 수 있는 구멍이 있다. 이러한 특수한 형식의 도끼는 중국 랴오닝성[遼寧省]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이 비파형 동검문화의 유적에서 발견된다. 차오양[潮陽] 십이대영자(十二臺營子), 진시[錦西] 오금당(烏金塘), 선양[瀋暘] 정가와자(鄭家窪子), 랴오양[遼陽] 이도하자(二道河子), 다롄[大連] 루상(樓上) 등지에서 다량 출토되고 있으며, 이도하자 ·강상(崗上) 등지에서는 거푸집[鎔范]이 발견되었다.

또한 8 ·15광복 전에는 뤼순[旅順] 지방의 즉주묘(卽周墓)와 유가탄(劉家畽)석묘, 목양성지(牧陽城址) 등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유적들과는 좀 성격이 다르지만 소달구(騷達溝) 산정대관(山頂大棺) 및 푸순시[撫順市] 대화방(大伙房) 1호묘와 같은 간석기가 공존하는 돌널무덤에서도 각각 1개씩 출토되었다. 따라서 랴오닝성에서는 요서(遼西)지구보다 요동(遼東)지구에서 더 많이 보이므로 요동지역의 특징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한편 한반도 지역에서는 의주 미송리동굴 상층유적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그 후 함남 영흥읍과 부여 송국리 집터에서 거푸집으로 발견되었다. 평북 토성리유적과 함북 어랑지방에서도 출토되었다고 하나 그것이 부채도끼인지는 알 수 없다. 이러한 도끼는 대부분이 길이 5cm 정도의 소형이나 영흥에서 출토된 것 중에는 10cm가 넘고 머리부분에 삼각문이 새겨진 것도 있다. 그 형태는 부채꼴을 이룬 날부분이 좌우로 뚜렷하게 확대되는 전형적인 것과 날부분의 호도(弧度)가 그리 뚜렷하지 않고 몸통 상반부에 몇 개의 융기선만을 돌린 간소한 형식이 있다. 이때 전자가 랴오닝성의 청동도끼들 중에서도 고식(古式)에 속하는 것들이다. 이러한 분류에 따른다면 한반도 출토의 도끼들은 고식적인 색채가 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미송리 ·영흥읍 유적 등이 랴오닝성의 청동기문화와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부채도끼는 랴오닝성 청동기문화의 영향 아래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부채도끼 중 고식 청동도끼들은 비파형 동검과 같이 반출되고 있어 시기는 대체로 청동기시대 전기에 비정(比定)될 수 있다. 이 도끼는 한국식 동검이 유행하는 청동기시대 후기가 되면 몸에 어깨가 생기는 유견식(有肩式)으로 바뀌는데, 전남 영암과 부여 구봉리 유적에서는 날부분은 부채꼴을 이루나 몸통에 어깨가 생긴 과도기적인 변형된 부채도끼가 나타나고 있다.

역참조항목

십이대영자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