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강

부족강

[ Pelecypoda , 斧足綱 ]

요약 연체동물의 한 강(綱).
동물
연체동물
조개류
서식장소 바다와 민물의 모래 진흙 속 또는 암석 ·목재

무두류(無頭類:Acephala) ·이매패류(二枚貝類:Bivalvia)라고도 한다. 몸은 좌우대칭이다. 좌우 2장의 서로 같은 껍데기는 꼭대기에서 관절치로써 서로 맞물리고 바로 안에 있는 외투막과 함께 몸을 완전히 싸 넣는다. 몸은 옆으로 납작한데 발도 납작하여 도끼 모양이다. 부족류라는 명칭은 이런 사실에 연유한다.

머리는 감소되어 뚜렷하지 않고, 외투강아가미는 크다. 아가미는 호흡작용 이외에 먹이를 모으는 구실도 한다. 소화계는 발달되어 있고 정체(晶體)를 지니며, 입에는 치설이 없다. 순환계는 개방형이며 심장은 2심방 1심실로 되어 있고 몸의 등쪽에 있다. 양 껍데기는 등쪽 바깥 가장자리에 붙어 있는 탄성이 있는 인대와 안쪽 앞뒤에 붙어 있는 폐각근(閉殼筋)의 이완작용으로 개폐된다. 외투막과 껍데기 사이에 모래나 기생충이 들어오면 이것을 핵으로 하여 외투막이 분비하는 물질에 의하여 진주가 형성될 수 있다. 외투막이 뒷부분에서 좌우가 접하여 생긴 것이 위쪽의 출수관과 아래쪽의 입수관인데, 아가미의 섬모운동으로 입수관을 통하여 들어온 물은 아가미를 거쳐 출수관을 통하여 나간다. 먹이 ·산소 ·노폐물 ·배설물 등은 이 물흐름에 의하여 운반된다. 자웅동체인 것도 있고, 자웅이체인 것도 있으며 교접은 하지 않는다.

부족강 본문 이미지 1

많은 종류가 바다와 민물의 모래 진흙 속에 살지만, 고착성이거나 암석 ·목재에 구멍을 파고 들어가 사는 것도 있다.

자연생태계 내에서 다른 동물들의 먹이로 중요하며, 인류의 식량원으로서도 매우 중요하다. 부족류는 원새목(原鰓目:Protobranchia) ·사새목(絲鰓目:Filibranchia) ·진판새목(眞瓣鰓目:Lamellibranchia) ·격새목(隔鰓目:Septibranchia)의 4목으로 나뉜다. 호두조개(Acila divaricata:원새목), 고막(Tegillarca granosa:사새목), 백합(Meretrix lusoria:판새목), 큰국자조개(Cuspidaria nofilis:격새목) 등 한국에는 약 186종이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