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건사회

봉건사회

[ feudal society , 封建社會 ]

요약 중세 서(西)유럽에서 전형적으로 발전한 사회발전상의 유형.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사회의 기초로서 영주 대 농민의 관계였던 농노제(農奴制:봉건적 주종 관계성립을 토지를 주로 했을 경우에는 莊園制)와 봉건영주(봉건귀족) 내부의 관계인 렌제(制), 즉 좁은 뜻의 봉건제를 특징으로 한다. 영주는 대내적으로 토지소유를 기초로 하여 농민을 직접적 ·인격적으로 지배하였고, 봉건 지대(地代)를 징수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독립적인 권력주체인 귀족 상호간에 장원을 물질적 매개로 한 쌍무적인 주종(主從) 관계가 맺어졌는데, 이는 권력분산적 상태에 있어서 유일한 질서유지 수단이었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생산력이 낮았고 발전이 정체되어 있었으며,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봉쇄적 현물 자급경제체제였다. 한편 의식면에서는 전통과 관습을 중시하였다.

봉건사회 본문 이미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