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초

별초

[ 別抄 ]

요약 고려시대의 군대조직.

고려 전기의 군사조직은 이군육위(二軍六衛)를 기간으로 하고 있었으나, 점차 병제(兵制)가 문란해지면서 선봉대 또는 별동대의 성격을 띠는 특수부대 조직으로서 별초가 나타나게 되었다. 처음에는 이군육위 내의 각 부대별로 일정한 비율을 정하여 선봉대를 선발하는 형식이었으나, 숙종여진족(女眞族)을 정벌하는 과정에서 별무반(別武班)이 편성되면서 새로운 부대조직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한 것이 별초의 효시를 이룬다.

무신집권기 병제의 문란이 극심해져서 기존의 군사편제 및 전시동원 체제가 유명무실해지자, 별초는 치안 및 국방이라는 대내외적인 목적을 위하여 많이 설치되었다. 1174년(명종 4) 이후 좌별초(左別抄) ·우별초(右別抄) ·신의별초(神義別抄)의 삼별초(三別抄) 및 경주별초(慶州別抄) ·양반별초(兩班別抄) ·노군잡류별초(奴軍雜類別抄) 등 다양한 별초 조직이 나타난다. 별초는 초기에는 주로 국내의 도둑을 잡기 위한 순검군(巡檢軍)의 역할을 맡았는데, 야별초(夜別抄)가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몽골[蒙古]의 침략이 격화되면서 유명유실화된 정규군의 역할을 대신하여 전투조직으로서 별초군이 중앙뿐만 아니라 전국에 걸쳐 조직되었다. 이에 따라 별초는 초기 선봉대로서의 성격과는 달리 모군(募軍) 방식을 통해 조직한 일종의 직업군인으로서 정규군화되었다.

중앙에는 경별초(京別抄) 조직이 있었고, 지방에는 본주별초(本州別抄)로 표현되는 외별초(外別抄) 조직이 있었다. 별초군은 고려 후기 익군(翼軍)이 조직되기 이전까지 고려 병제의 면모를 이어주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참조항목

삼별초, 야별초, 6위, 2군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