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도

변상도

[ 變相圖 ]

요약 불교 경전의 내용이나 그 교의(敎義)를 알기 쉽게 상징적으로 표현한 그림.

넓게는 벽화(壁畵)나 벽에 거는 탱화(幀畵) 등을 포함한 불교회화(佛敎繪畵) 전반뿐 아니라 설화적 내용이 주류를 이루는 고대 인도의 부조(浮彫)까지도 의미한다. 좁게는 경전의 첫머리 혹은 권(卷) 머리를 도해(圖解)하는 사경화(寫經畵)와 판경화(版經畵)만을 통상 변상도로 이해하기도 한다. 또한 진리의 내용[眞相]을 변화하여 나타낸 것이라 하여 변상(變相)이라고도 한다. 그 기원은 석가모니의 생애를 담은 불전도(佛傳圖), 전생(前生)을 묘사한 본생도(本生圖)에서 비롯되었는데, 고대 인도의 여러 불탑(佛塔)과 탑문(塔門) 및 난순(欄楯) 등에 새겨진 부조상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처음에는 석가모니와 관계된 설화내용을 바탕으로 부조 또는 그림으로 표현한 데서 시작되었으나, 나중에는 다양한 경전이 성립되면서 그 내용과 심오한 교리를 함축하여 한 폭의 그림으로 설명한 변상도가 유행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법화경(法華經)》 계통의 변상도로 〈묘법연화경변상도(妙法蓮華經變相圖)〉, 《화엄경(華嚴經)》 계통으로 〈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大方廣佛華嚴經變相圖)〉, 《정토3부경(淨土三部經)》 계통으로 〈관무량수경변상도(觀無量壽經變相圖)〉, 이외에도 〈범망보살계경변상도(梵網菩薩戒經變相圖)〉 〈금강경변상도(金剛經變相圖)〉 〈현우경변상도(賢愚經變相圖)〉 등이 있다.

한편, 그 경전의 내용과는 상관없이 경(經)이 잘 보호될 것을 기원하는 뜻에서 신장상(神將像)을 그린 〈불공견색신변진언경(不空羂索神變眞言經) 제13권 변상도〉(1275)나 〈문수사리문경변상도(文殊師利門經變相圖)〉(1276) 등도 있다. 또한 부처님의 말씀을 수록한 경전과는 달리 불교가 발달하면서 새로운 내용이 첨가되거나 새롭게 위경(僞經)이 만들어졌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부모은중경변상도(父母恩重經變相圖)〉 등이 있다. 대체로 초기에는 필사(筆寫)를 위주로 하는 사경(寫經)이 경전의 형태를 이루면서 권(卷) 머리에 또는 경(經) 머리에 한 폭의 그림으로 장식한 사경변상도(寫經變相圖)가 유행하였고, 점차 인쇄술의 발달에 힘입어 목판이나 활판으로 찍은 판경변상도(版經變相圖)가 많이 제작되었다.

여기에는 판경의 첫머리뿐만 아니라 모든 면에 본문과 함께 삽도 형식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경전과 거기에 수반되었던 변상도는 승려계급이나 특수계층에 한정되어 유통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교단이 발달하고 불교신앙이 대중화되면서 큰 규모의 변상도가 나타나게 된다. 즉 벽화나 탱화의 형태를 빌려 경변상의 내용이 확대되었는데, 이른바 관경변상도, 화엄변상도, 미륵하생경변상도 등이다. 탱화의 형태를 빌린 변상도는 비단이나 종이 위에 화려한 채색으로 그려지며 회화성을 강조하는 것에 비해 경변상도는 백지(白紙)나 감지(紺紙), 비단 등에 먹이나 금·은을 사용하여 선(線) 위주로 도상을 창출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

한국에 현존하는 최초의 변상도는 신라 때 만들어진 〈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8세기 중엽)가 있고, 고려시대 사경변상도로는 목종의 모후인 천추태후(千秋太后)와 김치양(金致陽)의 발원으로 제작된 〈감지금니대보적경변상도(紺紙金泥大寶積經變相圖)〉(1006, 일본 文化廳 소장)와 〈화엄경보현행원품(華嚴經普賢行願品) 제31권 변상도〉(1337, 호암미술관 소장) 등이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목판인쇄술의 보급과 함께 경판변상도가 많이 제작되었는데, 정조(正祖)가 발원한 용주사판(龍珠寺版) 〈불설부모은중경변상도〉(1796)가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