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사

반사

[ reflex , 反射 ]

요약 자극에 대해 기계적으로 일어나는 신체의 국소적인 반응. 감각수용기로부터 구심성 신경에 의해 전달된 감각정보의 신호가 중추신경의 어딘가에서 의지와는 관계 없이 전환하여, 원심성 신경에 전달되어 근(筋)과 선(腺) 등의 효과기에 그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자극에 대해 기계적으로 일어나는 신체의 국소적인 반응으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감각수용기로부터 구심성 신경에 의해 전달된 감각정보의 신호가 중추신경의 어딘가에서 의지와는 관계 없이 전환하여, 원심성 신경에 전달되어 근(筋)과 선(腺) 등의 효과기에 그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즉 감각 수용기에서 받아들인 자극이 수용기를 거쳐 감각뉴런, 반사중추(反射中樞)의 중추뉴런에서 자극이 전환되고, 운동뉴런, 반응기로 순차적으로 전도됨으로써 일어나는 무의식적이고 기계적인 생리현상을 의미한다. 이 경로를 반사궁(反射弓)이라 하며, 몇 가지 반사가 조합·조정되어 하나의 정리된 반응을 보이는 경우, 그 조정기능을 통합이라고 한다. 생체는 의지의 지령이 없더라도 중추신경계의 통합작용에 의해 복잡한 현상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합작용의 요소들이 단위를 이루는 것이 반사라고 할 수 있다.

생체가 태어나면서부터 가지는 반사는 매우 많으며 이때 반사중추가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반사를 분류하기도 한다. 그 대부분의 반사중추가 뇌간, 즉 연수(延髓)·교(橋)·중뇌·간뇌에 있다. 특히 반사중추가 척수에 있는 반사를 척수반사라고 한다. 뇌간보다 상위에 있는 대뇌의 대뇌피질이 관여하는 통합은 의지와 무관하다는 것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반사라고는 하지 않는다.

그러나 선천적 반사가 아니고 생후 여러 조건에 의해서 획득 형성하게 된 반사를 조건반사라고 하는데, 이것은 대뇌피질이 완전하지 않으면 형성되지 않는다. 고무해머로 무릎을 치면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다리가 앞으로 오르게 된다. 이것은 자극이 감각수용기 ①에서 척수를 거쳐 신경종말 기관 ②에 전달되어 근육을 움직인 것이다. 이런 것을 무조건반사라 한다. 무조건반사는 생득적(生得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반사를 칭할 때는 이 무조건반사를 의미한다.

카테고리

  • > > >

관련동영상

의식적 반응과 반사 날아오는 공을 보고 잡을 수 있는 것은 우리의 대뇌가 관여하여 자극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이렇게 대뇌가 중추가 되는 반응을 의식적 반응이라고 합니다. 반면, 뜨거운 냄비에 손이 닿았을 때 황급히 손을 떼는 행동은 자극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이를 무조건 반사라고 합니다. 이때는 대뇌가 반응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무조건 반사에는 뜨거운 물체를 만졌을 때 손을 떼거나, 뾰족한 물체를 밟았을 때 발을 피하는 반응 및 무릎 반사 등 척수가 반응의 중추가 되는 척수 반사와 기침, 재채기, 딸꾹질, 구토 등 연수가 반응의 중추가 되는 연수 반사 등이 있습니다. 대뇌를 거치지 않고 빠르게 일어나는 무조건 반사는 갑작스러운 위험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조건 반사는 과거의 어떤 경험이 조건이 되어 나타나는 무의식적 반응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파블로프의 실험이 있습니다. 파블로프가 개에게 먹이를 주자, 개가 침을 흘리는 무조건 반사를 합니다. 파블로프는 개에게 먹이를 줄 때마다 종소리를 함께 들려주었고, 개는 종소리가 나면 먹이를 먹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게 됩니다. 이후, 개는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는 반응을 보이는데, 이를 조건 반사라고 합니다. 의식하지 않고 일어나는 반응이라는 점에서 무조건 반사와 같지만, 반사가 일어나는 조건을 기억하고 학습하는 데 대뇌가 관여한다는 점에서 무조건 반사와 차이가 있습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