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직사

밀직사

[ 密直司 ]

요약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 궁중의 숙위(宿衛), 군기(軍機) 등을 관장한 관청.

991년(성종 10) 중추원(中樞院)을 설치하여 숙위를 맡아보게 하다가, 1009년(목종 12) 중추원 ·은대(銀臺) ·남북원(南北院)을 폐하고 중대성(中臺省)으로 개편하여, 왕명의 출납 ·군기 등의 임무를 더 맡겼다. 사(使) ·부사(副使) ·직중대(直中臺) 등의 관원을 두었다. 1011년(현종 2) 중대성을 중추원으로, 헌종 때는 추밀원으로 고쳤으며, 1275년(충렬왕 1) 처음으로 밀직사라는 이름으로 고쳤다. 1298년 광정원(光政院)이라 고쳤다가 곧 밀직사로 환원하였다.

1310년(충선왕 2) 밀직사의 관질(官秩)을 높여서 첨의부(僉議府)와 함께 양부(兩府)라 불렀으며, 승지(承旨)를 대언(代言)으로 고쳤다. 1354년(공민왕 3) 판사사 ·지신사 ·대언을 녹관(祿官)으로 하고,1356년 문종 때의 구제도로 복귀하여 추밀원으로 하였다. 1362년 다시 밀직사로 고쳐 종2품의 판사사 ·사사 ·지사사 ·첨서사사 ·동지사사 및 정3품의 좌 ·우 대언, 좌 ·우 부대언을 두었다. 1369년 제학(提學)을 학사(學士)로, 대언을 승선으로 고쳤다가 다시 제학 ·대언으로 환원하였다. 밀직사의 이속(吏屬)은 문종 때 별가(別駕) 10명, 주사(主事) 10명, 시별가(試別駕) 2명, 영사(令史) 2명, 기관(記官) 8명, 통인(通引) 8명을 두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