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학사

[ 學士 ]

요약 신라·고려·조선 시대의 관직.

신라시대에는 처음에 (詳文師)라 하다가 714년(성덕왕 13)에 통문박사(通文博士)로 고치고, 경덕왕 때 이를 한림(翰林)이라 하였다가 학사로 개칭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태조 때 원봉성(元鳳省)에 한림학사를 둔 이래 많은 관서에 학사관직을 두었는데, 모두 문신 중에서 뽑힌 뛰어난 학자들로, 왕의 측근에서 제찬(制撰)·사명(詞命)의 일에 종사하거나 왕에게 경서(經書)를 강론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한림관(翰林館)·사림원(詞林院)에 학사·시독학사(侍讀學士)·시강학사(侍講學士), 청연각(淸燕閣)·문덕전(文德殿)·연영전(延英殿)·(弘文館)·숭문관(崇文館)에 학사, 보문각(寶文閣)·문덕전·연영전·수문전(修文殿)·(集賢殿)에 대학사, 청연각·보문각·홍문관·수문전·집현전에 직학사(直學士)를 두었는데, 종2품부터 종4품까지의 벼슬이었다. 뒤에 대학사는 대제학, 학사는 제학, 직학사는 직제학으로 바뀌어 그 관직은 조선에 계승, 전기의 중추원(中樞院)에 종2품의 학사를 두었다가 1894년 이후 경연청(經筵廳)·(奎章閣)·홍문관(弘文館)에 (勅任官)의 학사를 두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