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형과

산형과

[ Celery, Carrot or Parsley family, Umbellifers ]

요약 속씨식물 산형목의 한 과로, 약 3,800종이 거의 전 세계에 분포한다. 일년생,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 또는 드물게 관목으로, 잎자루는 대개 기부에서 넓어져 줄기를 감싼다. 꽃차례는 대부분 산형꽃차례이나 드물게 단정꽃차례이고, 대개 다양한 형태의 총포로 감싸인다. 심피는 2개이고, 합생하며, 자방은 하위이고, 자방실은 2개이다. 암술대는 2개이며, 흔히 기부가 부풀어 오른다. 열매는 분열과로, 열매가 성숙하면서 2개의 분과로 갈라지며, 분과는 대개 납작하다.
등대시호

등대시호

학명 Api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산형
분포지역 거의 전 세계
서식장소/자생지 숲속, 숲 가장자리, 바닷가, 습지 등

산형과는 약 450속 3,800여 종으로 구성되며, 거의 전 세계에 분포하다. 주요 속으로는 피막이속, 병풀속, 참반디속, 당귀속, 당근속, 고수속, 시호속, 독미나리속 등이 있다. 숲속, 숲 가장자리, 바닷가, 습지 등에서 발견된다.

가치 및 활용

채소나 허브, 약재 등을 많이 포함하는데, 당근, 미나리, 고수풀, 쿠민, 회향, 당귀 등이 대표적이다. 독당근(Conium maculatum)과 같은 독성식물이나 원예용으로 사용하는 종도 있다.

특징

일년생,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 또는 드물게 관목으로, 대개 양성화주이지만 수꽃과 양성화가 한 개체에 달리는 잡성주이거나 또는 드물게 자웅이주이다. 줄기는 직립하거나 옆으로 퍼져 자라다가 끝에서 위로 곧추서며, 간혹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주로 어긋나며, 깃모양 또는 손바닥 모양으로 갈리거나 갈리지 않는다. 잎자루는 대개 기부에서 넓어져 줄기를 감싸며, 턱잎은 없거나 드물게 있다. 꽃차례(화서)는 단산형화서 또는 복산형화서이고, 드물게 단정화서이다. 총포는 대개 잘 발달하고 형태가 다양하다. 꽃은 양성화 또는 단성화로 크기가 작고, 방사상칭 또는 약간 좌우상칭이다. 꽃받침은 자방에 합착하고, 대개 5개로 얕게 치아상으로 갈리거나 불분명하다. 꽃잎은 5장이며, 서로 떨어져 있고, 정단부가 흔히 안으로 굽으며,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5개로, 화판과 호생하고, 수술대는 실 모양이며, 꽃밥은 2실로, 세로로 열개한다. 암술의 심피는 2개이고, 합생하며, 자방은 하위이고, 자방실은 2개이다. 암술대는 2개이며, 흔히 기부가 부풀어 오른다. 배주는 자방실당 1개이고, 태좌는 중축태좌이다. 열매는 분열과로, 성숙하면서 2개의 분과로 갈라지며, 분과는 대개 납작하다. 분과에는 전형적으로 5개의 능선이 있으며, 분과의 자루는 있거나 없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34속 70여 종이 알려져 있다. 그중, 강원도 이북에 주로 분포(드물게 중부지방에도 분포)하는 북방계 수생식물인 독미나리와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개울가 습한 곳에 드물게 자생하는 서울개발나물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덕우기름나물속은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고유속이며, 덕우기름나물 1종이 강원도, 충청도 석회암지대에 자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