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우기름나물

덕우기름나물

[ Deokwoo hogfennel ]

요약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eucedanum insolens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산형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역 한국
서식장소/자생지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숲속이나 석회암지대
크기 높이 50~100㎝
꽃의 색 흰색
개화시기 8~9월
잎의 형태 3회 깃꼴겹잎, 작은잎은 달걀형

강릉시 임계면 덕우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기름나물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숲속이나 석회암지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가 가지를 거의 치지 않는 긴 원통형이다.

잎은 거의 뿌리에서만 직접 1개가 나오고 3회 깃꼴겹잎(우상복엽)이다. 작은잎(소엽)은 달걀형이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끝에 달리는 작은잎은 자루가 있다. 줄기잎은 거의 달리지 않거나 피침형의 잎이 1개씩 달리며 드물게 1~2회 깃꼴겹잎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흰색으로 피며, 겹산형꽃차례를 이룬다. 총포엽은 1~2개이다. 소산경은 10~15개이고 각각 7~20개씩의 꽃이 달린다. 소총포는 4~5개이다. 꽃잎은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살짝 안쪽으로 말린다. 수술은 5개이고 꽃잎보다 길게 나오며 꽃밥은 주황색이다.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서로 분리된 열매로 발달하는 분과(分果)이고 납작한 타원형이며, 갈색의 세로줄이 여러 개 있다. 꽃받침의 톱니조각(치편)은 매우 작게 남아 있다. 분과의 횡단면은 납작한 반원형이다.

기름나물속에서 덕우기름나물속으로 분리함이 타당하다는 논문이 2016년에 A journal of plant science and conservation에 발표되었다. 그래서 덕우기름나물은 한국특산속 한국특산식물로 기록된다.

참조항목

산형과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