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대

수술대

[ filament ]

요약 꽃을 이루는 기관인 수술의 한 부분. 생식세포인 꽃가루를 만드는 장소인 꽃밥을 받치는 부분.

꽃을 구성하는 주요 기관인 수술(웅예: 雄蘂: stamen)은 꽃가루를 제로 만드는 장소인 꽃밥(약: 葯: anther)과 이를 받치고 있는 구조물인 수술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술대는 특별한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단지 꽃밥을 받쳐 올리기 위해서 존재하는 기관이다. 일반적으로 길고 가는 실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꽃실이라고도 하며 식물 종에 따라서는 털이 나 있거나 돌기가 있는 것도 있다. 또한 어떤 식물은 여러 개의 수술대가 한데 모여서 가운데 구멍이 뚫린 통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기도 하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수술대의 여러 가지 형태는 식물을 분류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일반적으로 꽃가루는 중력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에 꽃밥을 암술보다 높게 만들기 위해 수술대라는 구조가 발달한 것으로 짐작된다.

수술대 본문 이미지 1
밑씨꽃받침암술꽃잎암술머리씨방배주(밑씨)수술대꽃밥수술꽃자루

수술대의 형태와 구분

식물을 구분할 때에는 수술대의 길이에 따라서 구분하기도 한다. 4개의 수술 중에서 한 쌍의 수술대가 다른 한 쌍보다 긴 것을 2장수술(二長-: didynamous), 6개의 수술 중에서 두 쌍의 수술대가 다른 한 쌍보다 긴 것을 4장수술(四長-: tetradynamous)이라고 한다. 어떤 식물들은 수술대가 서로 합쳐져 있는데, 이 중에서 서로 합쳐져서 1개의 큰 수술대가 된 것을 단체수술(單體-: monadelphous), 2개의 수술대가 된 것을 양체수술(兩體-: diadelphous)이라고 하며 이보다 더 많은 수로 합쳐져 있는 것은 3체수술, 4체수술과 같은 식으로 부른다. 그리고 수술대가 어떤 형태로 꽃밥과 연결되느냐에 따라 꽃밥의 밑부분과 수술대가 결합하면 저착(底着: basifixed), 꽃밥의 옆 부분과 수술대가 결합하면 측착(側着: dorsifixed), 꽃밥의 중간 부분에 수술대가 붙어서 T자 모양이 되면 T형착(T形着: versatile)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참조항목

생식세포, 수술

역참조항목

꽃밥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