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Five-story Stone Pagoda of Muryangsa Temple, Buyeo ,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

요약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화강석 석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로 203 (외산면, 무량사)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7.5m, 하기단 너비 5.2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7.5m. 하기단(下基壇) 너비 5.2m. 2중의 기단 위에 세워진 5층의 사각 석탑으로, 기품은 웅대·장중하며 결구(結構)에 특색 있는 수법을 보였다.

하층기단은 파묻혀 있어 확실한 것은 알 수 없고, 갑석(甲石)은 규칙성도 없이 다수의 석재로 짰고 상면은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이에 비하여 상층기단의 짜임새는 규칙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중석(中石)은 4우주(隅柱)와 각 면 탱주(撑柱)는 모두 다른 돌이고, 각 면 면석(面石) 2장씩을 세워서 구성하였다. 갑석은 8장으로 탱주와 우주 위에 갑석이 얹히게 되어 있고, 밑의 부연(附椽)은 각호형(角弧形)의 몰딩형식을 취하여 일반형을 벗어났다. 탑신부(塔身部)는 초층 탑신이 낮으나 옥개석이 넓고 체감비율도 우아하여 매우 장중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은 얇고 추녀는 우각(隅角)에 이르러 약간의 반곡(反曲)이 나타나있다. 상륜부는 일부만 남았다.

옥개가 넓다거나 상층기단 갑석의 받침을 만든 수법, 각부 부재를 다른 돌로 한 점 등은 부여정림사지5층석탑의 양식을 따른 것으로서, 지역적인 영향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석탑은 많은 양식을 절충하였으나 잘 조화된 것으로, 만든 시기는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부여군 무량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보물 제185호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의 극락전 앞에 위치하고 있는 오층석탑으로 백제와 통일신라의 석탑 양식을 조화시켜 만든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웅장한 모습이다. 탑의 높이 7.5m 규모이며 하층기단은 파묻혀 있어 확실히 알 수 없지만 하층갑석은 규칙성 없이 여러 개의 석재로 만들어져 완만한 경사면을 하고 있다. 상층기단은 규칙성있게 짜여져 중석에는 모서리의 우주 4장과 각 면 2장 면석의 탱주로 구성되었고 갑석부분은 8장의 석재로, 갑석 밑의 부연은 각호형의 몰딩형식이다.   탑신부는 5층으로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웠으며 지붕돌에 비해서 높이가 낮은 편이지만 비례는 안정되어 보여 우아함과 장중함을 느끼게 하는 석탑이다. 지붕돌은 얇은 편이며 네 귀퉁이의 기울기는 위로 약간 치켜올려진 정도의 반전이 있으며 상륜부 장식은 일부가 남아 있다. 여러 시대의 다양한 양식을 절충한 석탑으로 보인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