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무량사 석등

부여 무량사 석등

[ Stone Lantern of Muryangsa Temple, Buyeo , 扶餘 無量寺 石燈 ]

요약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10세기경의 화강석 석등.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부여 무량사 석등

부여 무량사 석등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만수리)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법당 앞뜰의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바로 앞에 있으며 이것은 원래의 위치로 추정된다. 하대석(下臺石)은 측면부분까지 파묻혀 있어 지대석(地臺石)의 형태는 물론 그 유무도 알 수 없으나, 하대석 측면이 8각이었음이 시굴(試掘)에서 밝혀졌다. 하대 상부는 원형 연화대(蓮華臺)로 8잎의 겹꽃잎 복련(覆蓮: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이 조각되어 있으며, 맨 위에는 1단의 각형(角形) 받침을 새겨 8각 간주(竿柱)를 받치게 하였다.

상대석 역시 8각이며 밑면에 1단의 각형 받침을 새겨내고, 8잎의 홑꽃잎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을 둘렀으며, 상면에는 받침도 새기지 않아 평평한 위에 8각 화사석(火舍石)을 얹었다. 화사석은 8각이나 부등변 8각으로 4면은 넓은 반면에 다른 면은 좁아 한편의 4모를 죽인 것이다. 옥개석(屋蓋石)은 하면에 넓은 굄이 얕게 새겨졌고, 8각 추녀마다 반전(反轉)이 현저하여 전각(轉角)의 반전과 어울려 경쾌한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보아 옥개석이 약간 큰 편이나 엷은 옥개에 추녀마다 반전이 경쾌하여 둔중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조성 연대는 나말여초(羅末麗初)인 10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역참조항목

만수산, 만수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부여 무량사 석등 부여군 무량사에 있는 8각 석등 보물 제233호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의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형태의 석등이다. 석등 조성시기는 연꽃잎 장식의 표현으로 미루어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10세기 경으로 추정된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는 네모 바닥돌, 3단의 받침돌을 쌓았고 위로는 지붕돌과 연꽃봉오리 모양의 보주인 머리장식을 얹었다. 안상이 새겨진 4각형 바닥돌 위에 연꽃 여덟 잎이 조각된 아래받침돌을 올렸고 그 위에 8각 기둥의 가운데 받침돌이 길게 세워졌으며 윗 받침돌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다.  화사석은 8면 중 4면은 넓고 4면은 좁은 모양으로 조성되었으며 넓은 면에는 창이 뚫려 있다. 지붕돌은 약간 큰 편으로 여덟 귀퉁이와 처마의 경사가 조화롭고 경쾌하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