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목사

[ pastor , 牧師 ]

요약 프로테스탄트교회의 성직자(聖職者).

가톨릭에서 성직자(특히 司祭)를 신부(神父)라고 부르는 것과 비교된다. 목사라는 말은 신약성서의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4장 11절에서 유래하는데, 이 말에 해당하는 그리스어(語)는 양치기를 뜻한다. 목사와 신자와의 관계를 양치기, 즉 목자(牧者)와 양떼로 보고, 회중(會衆) 즉 양떼를 치는 스승이라는 뜻의 ‘목회자(牧會者)’가 줄어서 된 한역어(漢譯語)이다. 한국의 경우, 목사 안수를 받기 전의 전도사(傳道師) 혹은 강도사(講道師)까지를 포함하여 목회자 또는 교역자(敎役者)라고 하며, 이들은 교회를 중심으로 예배 ·설교 ·교육 ·목양 ·행정 등의 직능을 맡아 수행하는데, 크게 나누어 대체로 세 가지 역할을 한다. ① 목양(牧羊)의 역할:목자로서 신자들을 심방(尋訪) ·상담 ·위로하는 기능이다. ② 대화의 역할:집단적인 교역(敎役)의 기능으로서 신자의 교육과 예배를 주재하며, 전도를 하는 기능이다. ③ 교회의 조직 ·관리:교회의 조직적이고 집단적인 행위를 말하는데, 즉 교회를 보호 ·육성하는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