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 마이산

진안 마이산

[ Maisan Mountain, Jinan , 鎭安 馬耳山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남쪽 약 3㎞ 지점에 있는 두 암봉으로 된 산. 2003년 10월 31일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마이산

마이산

지정종목 명승
지정일 2003년 10월 31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이산로 240-34 (진안읍)
종류/분류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크기 지정구역 206,423㎡

소백산맥노령산맥의 경계에 있는 두 암봉으로, 각각 동봉(수마이봉)과 서봉(암마이봉)이라고 한다. 두 봉우리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신라 때는 서다산(西多山), 고려시대에는 용출산(龍出山)이라 불렸고, 조선시대부터 마이산이라 불리기 시작하였다. 높이는 서봉 687.4m, 동봉 681.1m 이다. 남쪽 비탈면에서는 섬진강 수계가 시작되고 북쪽 비탈면에서는 금강 수계가 발원한다. 지질백악기역암(礫岩)이다. 동봉과 서봉 사이에 448개의 층계가 있고, 동봉 중턱의 화암굴에서는 약수가 솟는다.

산 전체가 거대한 바위이기 때문에 나무는 그리 많지 않으나 군데군데 관목침엽수·활엽수가 자란다. 4월에는 3㎞에 걸쳐 벚꽃이 만발해 진안군에서 주최하는 벚꽃축제가 열린다. 동봉은 오를 수 없다.

마이산은 계절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르다. 봄에는 안개 속에 우뚝 솟은 두 봉우리가 쌍돛배 같다 하여 돛대봉, 여름에는 수목 사이에서 드러난 봉우리가 용의 뿔처럼 보인다 하여 용각봉(龍角峰), 가을에는 단풍 든 모습이 말 귀처럼 보인다 해서 마이봉, 겨울에는 눈이 쌓이지 않아 먹물을 찍은 붓끝처럼 보인다 해서 문필봉(文筆峰)이라 부르기도 한다.

마이산탑(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천연기념물) 등의 문화유산과 은수사(銀水寺)·금당사(金塘寺) 등의 고찰이 있다. 경관이 아름답고 특이하며, 수많은 풍화혈이 발달하여 학술적 가치가 크다. 1979년 10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83년 8월 24일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03년 10월 31일 명승으로 변경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마이산 마이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에 있는 두 암봉의 산 높이 : 서봉 687.4m, 동봉 681.1m   마이산은 생김새가 말의 귀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조선시대 때부터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경계에 위치하며 약 7천만년 전 지각변동으로 생성되었다. 정상부는 거대한 두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 동봉(수마이봉)과 서봉(암마이봉)이라고 하며 봄에는 돛대봉, 여름에는 용각봉, 가을에는 마이봉, 겨울에는 문필봉이라고 부른다. 산 전체가 거대한 바위이기 때문에 나무는 그리 많지 않고 암봉의 경사면에 패여진 곳이 있는데 풍화작용으로 생성된 것으로 타포니(Tafoni)라고 부른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