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과

마과

[ Yam family ]

요약 속씨식물 백합목의 한 과로, 약 800-870종이 전 세계에 분포하고,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종다양성이 높다. 마과는 다년생 초본으로 양성화주 또는 자웅이주이며, 덩이줄기가 있고, 지상줄기는 흔히 덩굴성이다. 꽃은 3수성이고, 열매는 삭과 또는 장과로 대부분 날개가 발달한다.
둥근마

둥근마

학명 Dioscoreaceae
식물
속씨식물
외떡잎식물
백합
분포지역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서식장소/자생지 저지대 숲속, 산 가장자리, 초원

속씨식물 백합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외떡잎식물(Monocots)-목(Dioscoreales)로 분류된다. 마과는 4속 800-870여 종으로 구성되고, 주요 속으로는 마속(Dioscorea), 타카속(Tacca), 스테노메리스속(Stenomeris), 트리코푸스속(Trichopus) 등이 있다.

분포 및 서식

전 세계에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저지대 숲속과 산 가장자리에 주로 자라며, 길가나 초원에서도 발견된다.

활용

마속의 여러 식물은 경제적으로 중요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는 중요한 식량자원이다. 특히 (yam)은 참마(Dioscorea alata)의 덩이줄기(괴경)는 영양소가 풍부하여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의학적으로는 항염, 항산화, 혈당 조절 및 심혈관 개선에 효능이 있다.

특징

다년생 초본으로, 암수딴그루(자웅이주) 또는 암수한그루(자웅동주)이고, 전분이 있는 육질의 굵은 뿌리줄기(지하경) 또는 큰 덩이줄기(괴경)에서 자라 나오며, 대부분 덩굴성이다. 잎은 호생, 대생 또는 윤생하고, 홑잎(단엽)으로 다소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거나 손바닥 모양 겹잎(장상복엽)이다. 잎자루(엽병)가 있으며, 턱잎(탁엽)은 대개 없다. 꽃차례(화서)는 잎겨드랑이에 나고, 총상화서, 원추화서, 수상화서이다. 꽃은 방사상칭이고, 곧게 서거나 밑으로 처진다. 꽃덮이조각(화피편)은 6장이며, 2열로 배열되고, 떨어져 있거나 밑 부분이 합쳐져 짧은 관 모양으로 되며, 대부분 꿀샘(밀선)이 있다. 수꽃의 수술은 6개이고, 3개씩 2열로 배열되며, 안쪽의 수술은 간혹 불염성이거나 없고, 암술은 흔적만 있거나 없다. 암꽃의 헛수술은 3개 또는 6개이거나 없으며, 암술을 구성하는 심피는 3개로 합생한다. 씨방(자방)은 하위이고, 삼각형 모양이며, 자방실은 3개로 뚜렷하게 나뉘거나 불완전한 격막으로 나뉜다. 밑씨(배주)는 자방실당 2개이거나 간혹 다수이다. 열매는 대부분 삭과이며, 장과 또는 시과인 경우도 있다. 종자는 납작하고, 종자의 한쪽 또는 둘레에 막질의 날개가 있거나 없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마속에 포함되는 10종(마, 참마, 부채마, 단풍마, 각시마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종은 남한 전역에 분포하며, 저지대 숲속과 길가에 자라고, 일부 종은 재배한다. 푸른마는 한반도 고유종으로 그동안 도꼬로마와 유사하여 오동정 되기도 하였으나 수꽃의 꽃자루가 없으며, 꽃덮이조각이 녹색이고 열매가 난형인 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참조항목

, , 외떡잎식물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부채마의 열매

부채마의 열매 마과. 출처: 중국농업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