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일청허지기

담일청허지기

[ 湛一淸虛之氣 ]

요약 성리학 이기론(理氣論)에서 기의 근원성을 가리키는 말.

‘담(湛)’은 ‘맑고 깊음’을 뜻하고 ‘일(一)’은 ‘오로지 하나, 근원적 통일성’을 뜻하며 ‘담일청허지기’는 ‘맑고 깊으면서 비어 있는 듯 하나 존재의 근원이 되는 기’라는 뜻이다.

장재(張載) 주저 《정몽(正蒙)》에서 ‘태허(太虛)’라고 하는 무형(無形)의 것을 기의 본체라고 하고, 그 기는 항상 활발한 운동을 되풀이하는 본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태허 중의 만물은 ‘변형의 임시 모습’으로, 기가 모이면 모양이 생기고 흩어지면 소멸하는 것이 얼음의 물에 비유할 수 있는 것과 같아 ‘무(無)’란 있을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서경덕(徐敬德)도 장재와 같이 기의 취산(聚散)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였다. 그의 제자 박순(朴淳)은 동일한 개념을 담일허명지기(湛一虛明之氣)라 하여 기의 ‘밝음’을 강조하고 본원적 기는 음양으로 표현한다면 음의 상태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이(李珥)는 이를 비판하고 현상의 역동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기를 중심으로 전개된 한국유학사의 논란은 담일청허지기에 대하여도 그 해석이 복잡하고 다양하였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