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선소리

남도선소리

[ 南道─ ]

요약 주로 전라도와 경상도 남서부 및 충청도 일부지역에 전승되는 선소리.

보렴(報念)》 《화초사거리》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새타령》 《성주풀이》 등이 이에 속한다. 그러나 《육자배기》 이하 《자진육자배기》 《홍타령》 《개구리타령》 《성주풀이》 등은 민요에 속하는 곡들로, 부르는 형식만을 선소리 스타일로 바꾼 것이고, 《새타령》 역시 가사체의 긴 사설을 가진 잡가로, 이를 선소리 형식으로 바꾸어 부른 것뿐이다. 선소리의 원류인 경기선소리에서 분파된 것으로 추측되는 이 남도선소리는 남도 특유의 선율이 담겨 있는 《육자배기》 등과도 많은 상이점을 갖고 있다.

《보렴》은 보시염불(報施念佛)의 약칭으로, 예전에 사당패가 선소리를 할 때 귀신을 쫓거나, 축원(祝願)을 하기 위해 불렀던 〈판염불〉 부분이 따로 떨어져나와 독립된 곡이다. 장단은 처음 중모리로 시작되어 굿거리를 거쳐 자진모리로 변하며, 음계는 남도의 시나위가락을 딴 계면조(界面調)이나, 대부분의 계면조가 애절하고 한스러운 데 반하여 이 곡은 꿋꿋하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가사는 "상래소수(上來所修) 공덕해(功德海)요, 회향삼처(回向三處) 실원만(實圓滿)을 봉위(奉位) 주상전하(主上殿下) 수만세(壽萬歲)요…"로 시작되는 불가어(佛家語)이다.

참조항목

경기산타령조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