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자배기

육자배기

[ 六字─ ]

요약 전라도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도잡가(南道雜歌).
종류 잡가(雜歌)

서도의 《수심가》와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원래 농요(農謠)의 갈래이며, ‘육자배기’라는 이름은 이 노래의 장단 진양의 1각인 6박을 단위로 하는 노래라는 뜻에서 생긴 듯하다. 이 진양은 민요에서는 보기 드문 장단이며 그 박자가 매우 느려서 한스럽고 서정적인 느낌을 주나 억양이 강하고 구성진 멋이 있다. 그리고 그 선율이 유연하면서도 음의 폭이 넓고 장절의 변화가 다양하여 그 예술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흘러내리는 미분음(微分音) 및 시김새에 따른 목구성이 독특하여 ‘육자배기조’라는 선율형을 낳았는데, 이 선율형은 전라도 사람이 아니면 제 맛을 낼 수 없다. 가사는 “저 건너 갈미봉에 비가 몰려 들어온다. 우장을 두르고 지심 매러 갈거나, 진국명산 만장봉에 바람이 분다고 쓰러지며 송죽 같은 굳은 절개 매맞는다고 훼절할까…”로 되어 있다.

육자배기 본문 이미지 1
수심가긴아리신고산타령궁초댕기북청사자놀음산염불몽금포타령봉산탈춤강령탈춤산대놀이한오백년정선아리랑단오제가면극농부가육자배기새타령강강술래진도아리랑고싸움놀이강강술래돌실나이오광대놀이동래야류수영야류경산자인단오제뱃노래쾌지나칭칭밀양아리랑별신굿놀이차전놀이방아타령태평가풍년가양산도늴리리야도라지타령방천놀이오돌또기

 

참조항목

전라도민요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