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휘

김휘

[ 金徽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인조 때 예문관봉교 ·사간원정언, 효종 때 부수찬 ·이조좌랑 외 여러 관직을, 현종 때 충청도관찰사 ·도승지 ·함경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강화유수 ·황해도관찰사 ·형조참판 ·대사헌, 숙종 때 이조판서 ·예조판서 ·개성유수 등을 지냈다.
출생-사망 1607 ~ 1677
본관 안동
돈미
사휴정 ·만은

본관 안동. 자 돈미(敦美). 호 사휴정(四休亭) ·만은(晩隱). 중추부판사 시양(時讓)의 아들. 1642년(인조 20)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봉교(奉敎)에 오르고 이어 사간원정언(正言)이 되어, 1646년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 강씨가 사사되자 그 경위를 규명하는 소(疏)를 올렸다가 파직되었다.

1649년(효종 즉위) 재기용되어 부수찬(副修撰) ·이조좌랑 ·이조정랑 ·교리 ·응교(應敎) ·헌납 ·사간(司諫) ·집의(執義)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현종 즉위 뒤 충청도관찰사 ·도승지 ·함경도관찰사에 이어, 1665년(현종 6) 경상도관찰사 ·강화유수(江華留守) ·황해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1666년 남인(南人)의 탄핵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1668년에 복관하여 형조참판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1675년(숙종 1) 이조판서에 이르고, 이듬해 예조판서 ·개성유수를 지냈다. 그림을 잘 그렸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