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여

균여

[ 均如 ]

요약 고려시대의 승려로서 불교의 교리를 담은 향가(鄕歌)를 지어 대중에 전파하는 데 힘쓰고 불교계의 종파 통합에도 노력하여 종파간의 분쟁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출생-사망 923 ~ 973
본관 황주(黃州)
활동분야 불교
주요저서 《수현방궤기(搜玄方軌記)》 《공목장기(孔目章記)》 등
주요작품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

본관은 황주(黃州)이고, 속성(俗姓)은 변씨(邊氏)이다. 어릴 때부터 《원만게(圓滿偈)》를 즐겨 읽었고, 15세 때 부흥사(復興寺) 식현(識賢)에게 배우고, 후에 영통사(靈通寺)에서 의순(義順)의 문인(門人)으로 수도하였다. 수도에 힘쓰는 한편 불교를 대중에 전파하는 데 노력하였고,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약칭 보현십원가)》라는 11수(首)의 향가(鄕歌)를 지어 노래로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부르게 함으로써, 대중이 부처에 친근해지도록 하였다.

불교계의 종파 통합에도 힘을 기울여 관혜(觀惠)의 남악파(南岳派)와 희랑(希朗)의 북악파(北岳派)의 통합을 위해 인유(仁裕)와 함께 대찰(大刹)의 승려를 찾아가 설득하였고 민간을 방문하여 설교하여 종파간의 분쟁을 종식시켰다. 958년(광종 9)에는 시관(試官)이 되어 유능한 승려들을 많이 선발하였다. 법계(法階)는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에 이르렀다. 한때 오관산(五冠山) 마하갑사(摩訶岬寺)에 있었으며, 963년(광종 14) 왕이 그를 위해 창건한 귀법사(歸法寺)에서 주지로 있다가 입적하였다.

균여의 사상의 핵심은 이른바 성상융회(性相融會)로 대변되는데, 이는 '공(空)'을 뜻하는 '성(性)'과 '색(色)'을 뜻하는 '상(相)'을 원만하게 융합하는 것으로서 당시 양립하던 화엄사상 속에 법상종의 사상을 융합하여 교파간의 대립을 해소하기 위한 통합사상이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당시 중소 호족이나 평민들이 신봉하던 화엄종과 법상종의 융회를 이루어 대중적 지지를 얻음으로써 대호족의 불교적 기반을 무너뜨리고 전제왕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저서에 《수현방궤기(搜玄方軌記)》 《공목장기(孔目章記)》 《오십요문답기(五十要問答記)》 《탐현기석(探玄記釋)》 《교분기석(敎分記釋)》 《지귀장기(旨歸章記)》 《삼보장기(三寶章記)》 《법계도기(法界圖記)》 《십구장기(十句章記)》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抄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