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연구소

국문연구소

[ 國文硏究所 ]

요약 1907년(광무 11) 7월 학부(學部)에 설치되었던 한글연구기관.
구분 연구기관
설립일 1907년
설립목적 한글연구
주요활동/업무 문자체계 연구, 맞춤법 연구

훈민정음 창제시 설치된 정음청(正音廳) 이후 최초로 한글을 연구하는 국가기관으로 학부대신 이재곤(李載崑)이 황제의 재가를 얻어 설치되었다. 설립 동기는 19세기 말부터 문자문제가 제기되고 공동연구에 의한 통일된 문자체계의 필요성을 느끼던 터에 1905년 7월 정부가 공포한 지석영(池錫永)의 <신정국문(新訂國文)>이 내용상 문제점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1906년 5월 이능화(李能和)가 학부에 제출한 <국문일정의견(國文一定意見)>에서 문자체계 통일을 역설하였기 때문이었다.

위원장에는 학부 학무국장 윤치오(尹致晤), 위원에는 학부 편집국장 장헌식(張憲植), 한성법어학교 교장 이능화(李能和), 내부 서기관 권보상(權輔相), 일본인 학부 사무관 우에무라〔上村正己〕, 주시경(周時經) 등이 임명되었다. 이후 어윤적(魚允迪)·이종일(李鍾一)·지석영·이민응(李敏應) 등이 발탁되었다. 1907년 9월 제1차회의가 열린 뒤 1909년 12월까지 23차례 회의를 열었는데, 14개항의 문제를 제출하여 1909년 12월 <국문연구의정안(國文硏究議定案)>과 8위원의 연구안으로 꾸며진 보고서를 학부대신에게 제출하였다.

그 주요내용은 국문의 연원과 자체(字體) 및 발음의 연혁, 초성 ㆁ ·ㆆ ·ㅿ ·◇ ·ㅱ ·ㅸ ·ㆄ ·ㅹ 8자의 사용 여부, 초성 중 ㄱ ·ㄷ ·ㅂ ·ㅅ ·ㅈ ·ㅎ 6자의 병서법의 일정화, 중성 2자의 창제와 ‘ ·’자의 폐지 여부, 종성 ㄷ ·ㅅ 2자의 용법과 ㅈ ·ㅊ ·ㅋ ·ㅌ ·ㅍ ·ㅎ 6자의 종성 채용 여부, 자모 7음과 청탁(淸濁)과의 구별, 사성표(四聲標)의 사용 여부와 조선어 음의 고저(高低), 자모 음독일정(音讀一定), 자순과 행순의 일정, 철자법 등이다. 그러나 정부가 보고서에 대한 조처를 취하지 않아 세상에 공포되지 못하였으나 <국문연구의정안>의 내용은 매우 훌륭한 문자체계와 표기법 통일안으로 '·'자를 사용하기로 한 것을 제외하면 오늘날 사용하는 맞춤법의 원리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