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실업

구조적 실업

[ Structural unemployment , 構造的失業 ]

요약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만성적·장기적인 실업상태.

일할 의욕이 있으면서도 유효수요(有效需要)의 부족으로 취업할 기회가 없는 것을 비자발적 실업이라 하며, 이런 실업 중에서 경기변동에 의한 일시적 실업이 아니라 경제구조의 변화에서 오는 장기적이며 만성적인 실업을 말한다.

고전파 경제학이 J.B.세이의 법칙에 의해 수급(需給)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완전고용이 보장된다고 주장한 데 반하여, J.M.케인스는 실업이 존재하는 수급의 균형을 증명하여 구조적 실업을 설명하였다.

J.V.로빈슨은 케인스가 말하는 실업은 20세기의 장기에 걸친 정체기(停滯期)에 선진자본주의국가에서 산업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보고, 이 현상을 구조적 실업이라고 명명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