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생대층

고생대층

[ Paleozoic Erathem , 古生代層 ]

요약 고생대에 생성된 지층과 암석의 총칭으로 고생계(界)라고도 하며 선캄브리아 시대 암석과 부정합 관계에 있다. 한국의 고생대층으로는 조선계(系)와 평안계가 있다.

고생계(古生界)라고도 한다. 고생대층은 그보다 오래 된 선캄브리아 시대의 암석과는 항상 부정합(不整合)의 관계에 있으며, 선캄브리아 시대 암석이 주로 변성암인데 비하여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고생대층은 고생대 초기의 캄브리아기부터 오르도비스기 중엽에 걸쳐 퇴적한 조선계(朝鮮系)가 평남·황해·강원 지방에 두껍게 발달되어 있고, 고생대 후기인 석탄기 중엽부터 중생대 초기의 트라이아스기에 이르는 동안에 퇴적한 평안계가 조선계 상위에 평행부정합 또는 약한 경사부정합의 관계로 놓여 있다.

그러나 오르도비스기 중엽 이후 실루리아기·데본기 및 석탄기 초기의 퇴적층은 별로 없어 이 오랜 기간 동안(약 1억여 년) 한반도는 육화(陸化) 상태에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계는 일반적으로 규암·사암·점판암(粘板岩) 등 변성쇄설성(變成碎屑性) 퇴적암으로 구성되며, 상부를 대석회암통의 두꺼운 석회암이 덮고 있다. 한편, 평안계는 셰일·사암·역암 등 육성(陸成) 퇴적암으로 구성되고, 그 속에 무연탄층이 협재(狹在)되어 있어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