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잠과

경잠과

[ 耕蠶科 ]

요약 조선시대에 실시한 과거의 하나.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임시로 치러지던 경과(慶科)의 성격을 띤 부정기 정시(庭試)로 1767년(영조 43)에 단 한 차례만 실시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농본정책의 하나로서 왕과 왕비가 농사일과 누에치기에 모범을 보이는 친경친잠례를 거행하였다. 1767년에는 특별히 친경친잠례를 기념하기 위해 행사가 끝난 뒤에 왕이 참석한 가운데 승정원 뜰에서 시험이 행해졌다. 시험의 절차, 과목 등은 일반 정시와 같았으며 합격자는 당일 발표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김문순(金文淳) 등 3명이 선발되었다.

참조항목

경과, 과거, 잡과, 정시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