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경

친경

[ 親耕 ]

요약 국왕이 농사의 모범을 보이고 풍작을 기원하는 뜻에서 직접 행하던 농사짓는 의식.

농업은 한국 근대 이전의 산업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였으므로, 연초에는 관례적으로 임금이 권농윤음(勸農綸音)을 내리고, 선농단(先農壇)에서 농사가 순조로울 것을 비는 제사를 지냈다. 또한 일기가 불순할 때는 임금 또는 정부 고관이 비를 구하는 기우제나 비가 그칠 것을 기도하는 (祈晴祭)를 지내는 등 농사에 대한 공식적인 의식이 많았다.

왕비가 행하는 친잠(親蠶)과 짝을 이루던 행사이다. 983년( 2) 왕이 원구(圓丘)에서 풍작을 빌고 친경을 위해 설치된 적전(籍田)을 직접 갈았다는 사실이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 된 친경 기록이지만 그 이전에도 행하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태종 때 개성에 서적전(西籍田)을, 흥인문 밖 현재의 동대문구 에는 선농단과 함께 동적전(東籍田)을 두었는데 친경은 동적전에서 행하여졌으며, 행사가 계속되면서 제도도 차차 정비되었다.

조선 후기의 《친경의궤》를 통해 보면 의 관장 아래 거행되었다. 국왕은 먼저 인간에게 농사법을 가르쳤다는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 대한 선농제(先農祭)를 지낸 다음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적전을 갈고 여러 곡식의 씨를 뿌렸다. 그 후 왕세자, 고위관료, 종신, 선발된 농민 등이 작업을 하였으며, 국왕은 친경대에서 그것을 살핀 후 일이 끝나면 연회를 베풀었다. 1909년(융희 3) 4월 순종이 행한 의식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
  • > >